(서울=뉴스1) 윤주현 기자 =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건설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인공지능(AI)이 주목받고 있다"며 "국토부도 AI를 가장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정부 부처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콘퍼런스홀에서 19일 열린 '뉴스1 건설부동산포럼'에서 박 장관은 축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건설 현장에서 AI를 활용하면 공정을 최적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며 "작업자와 기계의 움직임 분석을 통해 위험 요소를 사전에 감지하고 사고를 예측해 안전 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동산 시장에서도 AI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시장을 예측하고, 부동산 이상 거래 패턴을 탐지해 전세 사기와 같은 불법 행위를 사전에 차단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발전하는 AI 기술을 향후 국토·교통 분야에 도움이 될 거라는 의견도 제시했다. 박 장관은 "노인 돌봄, 의료와 같은 스마트 하우징 관련 기술뿐만 아니라 도시 구조나 교통 체계 개선과 같은 분야에도 AI가 활용될 수 있다"며 "전략적으로 활용한다면 업계의 새로운 도약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AI 산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AI가 실제 서비스로 이어지기 위해선 데이터의 통합과 개방, 전문 인력 양성, 기업 지원 등 다양한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며 "국토부는 민간 합동 협의체를 구성해 분야별 AI 전략을 체계적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지금 마주하고 있는 AI는 30년 전 우리가 무전기를 바라보던 것과 같은 초기 버전일 가능성이 높다"며 "앞으로 AI 기술 진보가 우리 일상생활에 끼칠 파급력은 감히 쉽게 상상하기 어렵다"고 부연했다.
끝으로 "국토부도 AI를 가장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정부 부처로 거듭나겠다"며 "건설·부동산 산업도 다른 어떤 영역보다 AI를 많이 활용하고, 기술과 함께 성장하는 산업으로 발전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gerrad@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