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미국 관세장벽 등 무역 환경 변화에 따른 수출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지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광주시의 종합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수기 광주시의원(더불어민주당·광산구5)은 31일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무역장벽의 현실화와 글로벌 경제 위기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자동차, 전기·전자 제품 등의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22% 감소하는 등 관세장벽의 충격파가 이미 현실화하고 있다"며 "소상공인들은 벼랑 끝에 몰린 상황"이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지역 대표 제조기업이었던 위니아 딤채의 법정관리는 위기의 경제 상황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며 "지난 3년간 줄도산과 법정관리로 대유위니아 그룹은 1200억 원에 달하는 임금 체불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결국 파산 절차로 넘어갈 상황에 처했다"고 전했다.
이어 "파산 절차로 넘어가면 협력업체의 줄도산과 지역 내 제조업 기반 약화로 일자리 감소 등 지역 경제 전반에 악영향이 우려된다"며 "근로자들의 밀린 임금과 퇴직금은 겨우 3개월분 급여 정도에 불과해 근로자들의 생계가 극도로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정부와 광주 신용보증재단의 자금 지원으로 버텨온 협력업체들 역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위니아 딤채는 위니아 딤채의 경우 기업 인수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진 만큼 회생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박 의원은 "미국의 관세 장벽으로 수출 기업과 전통 제조업 분야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광주시는 복합적인 위기에 대한 선제적이고 긴밀한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최근 광주시와 경제·산업계가 연대해 위니아 회생절차 기한 연장을 요청하는 탄원서를 제출했다"며 "가전산업을 비롯한 광주 대표 산업 관련 기업의 경영 안정과 기술‧제조 경쟁력 강화, 수출 다변화를 위한 지원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nofatejb@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