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시는 5월 27일까지 100일간 불합리한 규제의 집중 발굴에 나선다.
12·3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위축된 지역 산업과 경기 활성화를 위해 시민 체감도가 큰 5대 분야의 불합리한 규제를 집중 발굴한다.
5대 분야는 민생경제, 일자리·산업,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 중심) 도시, 인구·돌봄, 일상생활 등이다.
민생경제 분야는 중소기업·소상공인, 자영업자 등 경영·영업·고용의 애로사항을 살피고 일자리·산업 분야는 일자리 창출, 청년·경력단절자·노인 등 취업, 지역투자, 신산업 활성화를 저해하는 사항을 점검한다.
대자보 도시 분야는 대중교통, 자전거, 보행자 중심도시 조성을 저해하는 사항을, 인구·돌봄 분야는 저출생, 고령화, 1인 가구, 돌봄, 복지, 교육 등을 위한 개선 사항을, 일상생활 분야는 국민 안전, 소방, 보건, 문화, 관광, 주택, 환경 등 각종 생활 불편을 접수한다.
불합리 규제 발굴은 광주시 혁신평가담당관실 이메일, 우편, 광주시청 혁신평가담당관으로 접수하면 된다.
광주시는 대한건설협회, 소상공인연합회 등 직능단체를 주 1회 현장 방문해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규제도 함께 발굴할 계획이다.
발굴된 규제 중 법령 등 중앙부처 검토가 필요한 중앙규제는 광주시가 '규제개혁 신문고'에 직접 건의해 부처 검토 과정을 종합 관리할 계획이다.
조례, 규칙, 계획과 관련된 지방규제는 광주시와 자치구에서 직접 검토하고, 광주시 규제개혁위원회 등 전문가 심의를 통해 해당 부서와 자치구에서 적극 개선될 수 있도록 권고할 계획이다.
이병철 기획조정실장은 “규제 개선은 꼭 예산이 반영되지 않더라도 지역 산업 성장과 시민 일상생활 등에 직결돼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며 “모든 기관과 시민들이 적극 참여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지난해 행정안전부 규제개혁 자치법규 일제 정비 평가에서 17개 시도 가운데 전국 1위를 차지, 특별교부세 1억원을 수상했다.
nofatejb@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