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조선 옷차림 풍습'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北 세계무형유산 5개로 늘어…중국 '춘제(春節)'도

본문 이미지 - 유네스코 유튜브 방송 캡처. 화면에 보이는 상단 사진이 북한의 '조선 옷차림 풍습'을 보여준다.
유네스코 유튜브 방송 캡처. 화면에 보이는 상단 사진이 북한의 '조선 옷차림 풍습'을 보여준다.

(서울=뉴스1) 정수영 김일창 기자 = 우리나라의 장(醬) 담그기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된 가운데, 북한의 '조선 옷차림 풍습'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다.

북한은 그간 '아리랑'(2014년), '김치담그기'(2015년), '씨름'(2018년 / 남북공동등재), '평양냉면'(2022년)이 등재돼 있었다. 이로써 유네스코에 등재된 북한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은 5개로 늘었다.

지난 3일 오후(현지시간) 파라과이 아순시온에서 열린 제19차 유네스코 무형유산 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는 북한의 '조선 옷차림 풍습'(Custom of Korean costume: traditional knowledge, skills and social practice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에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또 중국의 최대 명절 '춘제(春節)'도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올랐다. 춘제는 음력 1월 1일부터 시작되는 명절로, '중국의 설'이라고 불린다.

한편 '장 담그기 문화'가 등재되면서 우리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은 23개가 됐다.

우리나라는 2001년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을 시작으로 △판소리(2003년) △강릉 단오제(2005년)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처용무(이상 2009년) △가곡 △대목장 △매사냥(이상 2010년) △택견 △줄타기 △한산모시짜기(이상 2011년) △아리랑(2012년) △김장 문화(2013년) △농악(2014년) △줄다리기(2015년) △제주 해녀 문화(2016년) △씨름(2018년) △연등회(2020년) △탈춤(2022년)까지 22건의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jsy@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