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양새롬 기자 = 올해 5세대 이동통신(5G) 통신서비스 품질 평가에서 실내시설 평가 물량을 전년보다 140개 늘어난 300개로 확대하고, KTX 등 고속철도 구간도 집중 점검을 실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런 내용의 '2025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추진계획'을 7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5G, LTE, 유선인터넷 등 주요 서비스의 접속가능비율, 전송속도 등을 측정해 이용자에게 통신서비스 품질 관련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통신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매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올해는 평가 물량을 작년 400개에서 600개로 대폭 확대하고, 특히 평가 물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300개를 실내시설로 지정해 실내 체감품질 향상 및 음영 해소를 촉진할 예정이다.
또한 실내시설 평가 대상 선정 시 실내 5G 무선국이 없는 시설을 중점적으로 선정해 음영지역 여부 등을 점검하고 투자를 유도한다.
아울러 KTX와 SRT 등 연간 이용객이 1억 명 이상인 대중교통임에도 품질미흡지역으로 지적되는 고속철도 구간과 관련해서는 품질미흡 미개선 구간에 정밀점검을 실시해 통신사의 신속한 개선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5G와 LTE 품질을 동시에 측정하는 방식을 도입해 LTE망을 LTE 서비스뿐만 아니라 5G 서비스에서 함께 활용하고 있는 실제 이용환경을 반영해 평가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 이용자들이 실제 불편함을 느끼는 지역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기 위해 이용자 평가 결과의 품질 하위 지역을 망 품질평가 대상 지역으로 선정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통신사의 품질 개선이 유도할 계획이란 게 과기정통부 설명이다.
이 밖에도 동영상 서비스 가용률 등 주로 사용하는 콘텐츠를 원활히 이용할 수 있는 전송속도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평가를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전년도 평가 결과에서 확인된 5G·LTE 접속 미흡 시설 및 품질 미흡 지역 개선 여부를 점검한 결과는 8월 중 중간 발표할 예정이며, 종합적인 결과는 12월 중 발표한다.
이도규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는 이용자의 서비스 선택을 돕고 통신사의 품질 개선을 유도하는 중요한 제도"라며 "국민 실생활에서 불편함이 없도록 5G 등 통신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flyhighro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