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내년부턴 민간이 글로벌 연구개발(R&D) 협력을 주도하도록 정부가 생태계 조성 등 후방지원에 나선다. 글로벌 협력을 통해 전략기술 육성, 기술 사업화 등을 달성하는 데 정부 자원만으론 한계가 있어서다.
다만 최근 국회가 내년도 글로벌 R&D 예산을 삭감한 데다 환율 급등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추가경정예산 등 보완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2024 K-사이언스 & 테크놀로지 글로벌 포럼'을 열고 과학기술 국제협력 동향 및 성과, 향후 추진 계획 등을 소개했다.
현장엔 참여한 연구계,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가 등은 입을 모아 글로벌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메타 수석 인공지능(AI) 과학자를 겸하는 얀 르쿤 뉴욕대 교수는 AI 기술이 진정으로 혁신하려면 글로벌 빅테크, 공공기관, 민간 등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간처럼 현실 세계와 상호작용하고 이에 기반해 추론할 수 있는 AI를 미래 지향점으로 제시했는데, 여기엔 오픈소스, 데이터 개방 등 글로벌 협력이 필수적이다.
국내 양자물리학 권위자인 채은미 고려대 교수는 글로벌 공동연구비가 연구자 간 지속적인 교류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양한 문화권의 연구자가 시너지를 내고 연구 장비 등 부족한 자원을 공유하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국제협력 중장기 플랜 '과학기술외교 이니셔티브'를 추진해 내년 사업 전략에 반영한다. 전문성과 기민함을 갖춘 민간·기업이 협력을 주도하고 정부는 협력 거점 확대, 규제 완화, 공적개발원조(ODA) 등 방식으로 기반을 조성한다.
또 보스턴 코리아,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등과 같이 첨단·응용 기술 분야 중심으로 공동 사업을 대형화, 장기화한다.
기존 협력이 잦았던 미국뿐 아니라 유럽, 아시아 태평양 국가와도 협력이 강화할 예정이다. 유럽의 경우 유럽연합(EU)이 주관하는 다자협력 R&D 프로그램 '호라이즌 유럽'에 한국이 내년 준회원국으로 합류, 우리 연구자의 진출 교두보가 될 예정이다. 아시아·태평양 국가와 AI 학습 데이터 등에서 협력하는 '이노베이션 APAC 프로그램'도 내년 신설된다.
조선학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책국장은 "올해와 내년 노력으로 끝나지 않고 정부 R&D 투자 규모의 6~7%를 글로벌 R&D에 지속 투입할 수 있게 하겠다"며 "여러 협력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우수 사례를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최근 국회가 내년도 글로벌 매칭형 기초연구 예산을 55억 9100만 원,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예산을 312억 5000만 원 감액하는 것으로 의결해 계획이 순탄치만은 않다. 환율 급등으로 인한 예산의 실질적 축소도 우려된다.
이날 현장에서 취재진을 만난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금 상태로는 안 되니까 추경을 많이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legomast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