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기회발전특구 내 투자기업의 안정적인 인력 공급을 위한 지원 사업에 총 52억 5000만 원을 투입해 2500명의 지역인재를 양성한다고 17일 밝혔다.
올해부터 추진되는 '2025년 기회발전특구 인력양성사업'은 특구 기업의 재직자 및 신규 취업 인력을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특구형 인재를 양성하는 사업이다. 교육 프로그램은 지자체가 지역대학 등과 연계해 설계하고 운영한다.
올해는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된 48개 지구 중 19개 지구가 신청했다. 산업부는 이 중 13개 지구를 최종 선정했으며 총사업비 52억 5000만 원(국비 35억원(66.6%)·지방비 17억 5000만원)을 투입해 2500명의 지역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신청 지역 및 분야는 △대구(디지털, 첨단제조) △경북(바이오산업) △전북(모빌리티) △전남(이차전지) △경남(미래모빌리티) △울산(차세대이차전지, 주력산업첨단화) △강원(바이오․데이터 등) △세종(기술혁신), △부산(금융) △광주(모빌리티, AI) 등이다.
이번 인력양성 프로그램에는 89개 기회발전특구 기업이 참여하게 되며, 제조산업 AI·데이터 분석, 자율자동차 부품 설계 최적화, 미래 모빌리티 전환 부품 기술교육 등 특화 프로그램이 운영될 계획이다.
오승철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기회발전특구 지방투자 기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투자 지역에서의 안정적 인력 공급이 최우선"이라면서 "기회발전특구가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기회발전특구 내 인력 확보 및 지역인재 역량 강화 등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앞으로도 필요한 사업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freshness410@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