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이틀 동안 10% 폭락, 시총 2700억달러 증발(종합)

스마트폰 화면에 뜬 엔비디아 로고. ⓒ 로이터=뉴스1 ⓒ News1 박형기 기자
스마트폰 화면에 뜬 엔비디아 로고. ⓒ 로이터=뉴스1 ⓒ News1 박형기 기자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미국 정부의 새로운 인공지능(AI) 전용칩 수출 통제로 엔비디아가 이틀간 10% 정도 폭락하면서 시총이 약 2700억달러(약 384조) 증발했다.

1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는 2.93% 급락한 101.49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이로써 시총도 2조4760억달러로 줄었다.

본문 이미지 - 엔비디아 일일 주가추이 - 야후 파이낸스 갈무리
엔비디아 일일 주가추이 - 야후 파이낸스 갈무리

전일에도 엔비디아는 6.87% 급락했었다. 이에 따라 이틀간 엔비디아는 약 10% 폭락하며 시총도 2700억달러 정도 증발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 AI 전용칩의 대중 수출을 또다시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행정부는 이전에도 대중 AI 칩 수출을 제한해 왔었다. 엔비디아는 이에 대응해 중국 맞춤형으로 H20 칩을 제작, 중국에 수출했었다.

그런데 최근 미국 정부는 H20 수출도 미국 정부의 수출 면허를 획득해야 한다고 엔비디아에 통보했다.

엔비디아는 이 때문에 55억달러(약 7조8000억원)의 추가 비용이 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엔비디아는 최근 들어 연일 급락하고 있다.

이는 무역전쟁과 별도로 중국의 AI 굴기를 막기 위한 것이다.

중국의 AI 업체 '딥시크'가 지난 1월 미국의 경쟁업체보다 더 적은 AI 전용칩을 사용하고도 미국 경쟁업체보다 더 우수한 챗봇을 만든 이후 미국은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 AI 업계의 '스푸트니크 쇼크'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였다.

본문 이미지 - 중국의 오성홍기와 중국의 AI 업체 딥시크를 합성한 시각물. ⓒ 로이터=뉴스1 ⓒ News1 박형기 기자
중국의 오성홍기와 중국의 AI 업체 딥시크를 합성한 시각물. ⓒ 로이터=뉴스1 ⓒ News1 박형기 기자

딥시크 챗봇에 쓰인 AI 전용칩이 바로 엔비디아가 중국용으로 생산한 H20이다. 이후 중국 업체들이 대거 H20을 구매하고 있다.

이를 방치할 경우, 중국의 AI 능력이 배가될 수 있다는 우려로 미국 정부는 관련 칩 수출을 더욱 옥죈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유명 투자은행 JP모건은 이날 보고서를 내고 트럼프 정부의 이번 조치로 엔비디아의 연간 매출과 주당 순익이 8%~10% 감소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한편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미중 양국의 반도체 전쟁이 격화하자 베이징을 방문, 중국 지도부와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문 이미지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 News1 신웅수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 News1 신웅수 기자

sinopark@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