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서울=뉴스1) 류정민 특파원 박형기 기자 =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이 상호 간에 34%의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하는 '치킨 게임' 양상으로 흐르면서 전세계 자본시장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오후 '약한 자만이 실패한다'라는 글을 자신의 트루스소셜에 올렸다.
지난 2일 중국에 34%의 상호관세를 추가로 부과한다는 자신의 발표에 맞서 중국이 이틀 뒤에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관세로 대응하자 굽히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치위원회는 오는 10일 낮 12시 1분을 기점으로 관세를 발효한다는 방침이다.
글로벌 패권을 다투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전쟁이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식 대응으로 흐르는 양상이다.
중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 대상이며, 미국은 그다음을 차지하는 국가여서 양국 간 보호무역주의 확대에 따른 교역량 감소는 한국의 수출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의 보복 대응에 대해 "잘못된 선택을 했다"면서 "그들은 당황했다. 감당할 수 없는 단 한 가지"라고 적었다.
또 다른 게시글에서는 "미국에 엄청난 돈을 투자하는 많은 투자자에게 쓴다"며 "제 정책은 결코 변하지 않을 것이다. 지금이 부자가 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라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중국에뿐만 아니라 기본적으로 전 세계 모든 교역국의 수입품에 5일 0시1분부터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국가별로 차등을 둔 상호관세를 9일 0시1분부터 발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한국에 대해서는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
그는 관세를 통해 세수를 확충할 수 있으며, 관세를 피하려는 기업들이 미국으로 몰려와 제조업을 되살리고 일자리를 늘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중국의 맞대응으로 불안감이 커진 데다,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이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장기화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서면서 글로벌 증시는 연이틀 폭락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당초 생각했던 것만큼 일시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파월 의장은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린 '비즈니스 편집 및 글쓰기 협회 주최의 콘퍼런스에 참석, "관세 인상이 예상보다 훨씬 더 클 것임이 분명해지고 있다"며 "높은 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를 포함한 경제적 영향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말했다.
파월은 관세 부과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일 것이라고 말했었다. 트럼프가 시장의 예상보다 높은 상호 관세를 부과하자 입장을 선회한 것이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는 5.50%, S&P500은 5.97%, 나스닥은 5.82% 각각 급락했다. 전일보다 낙폭을 키운 것으로 다우는 3.98%, S&P500은 4.84%, 나스닥은 5.97% 각각 급락했었다.
이날 3대 지수의 낙폭은 코로나 팬데믹 시기인 2020년 6월 이후인 약 5년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예상했던 일"이라며 태연한 모습을 보였지만, 워싱턴포스트(WP),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 언론은 이날 나스닥이 최고점 대비 20% 하락을 의미하는 약세장에 진입했다고 분석했다.
또 JP모건 애널리스트들은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한 가능성을 60%로 높였다고 WSJ는 전했다.
앞서 마감한 유럽증시도 일제히 급락했다. 독일의 닥스는 4.95%, 프랑스 까그는 4.26%. 영국 FTSE는 4.95% 각각 급락했다.
특히 범유럽 지수인 스톡스600 지수는 5.12% 급락, 하락률이 5%를 상회했다.
전일 아시아 증시도 일본의 닛케이가 2.75%, 한국의 코스피가 0.86%, 호주 ASX는 2.44%, 홍콩의 항셍은 1.52%,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24% 각각 하락했다.
아시아 증시의 낙폭이 비교적 작은 것은 전전일 트럼프 관세 폭탄의 영향을 가장 먼저 반영했기 때문이다. 전전일 아시아 증시도 닛케이가 4% 정도 급락하는 등 일제히 급락했었다.
안전자산인 국채로 투자가 쏠리면서 국채 가격은 상승하고, 수익률(시장금리)은 급락했다.
미국 채권의 벤치마크인 10년물 수익률은 전 거래일보다 0.15%포인트 급락한 3.88%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이후 최저치다.

ryupd0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