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이어 BYD 충격, 전 차종에 자율주행 기능 ‘무료’ 장착

16일 인천시 중구 상상플랫폼에서 열린 BYD 승용 브랜드 런칭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아토3(ATTO3)차량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2025.1.16/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16일 인천시 중구 상상플랫폼에서 열린 BYD 승용 브랜드 런칭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아토3(ATTO3)차량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2025.1.16/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중국의 인공지능(AI) 업체 딥시크 충격으로 빅테크 주가가 급락한 데 이어 비야디(BYD) 충격으로 테슬라 등 전기차 주가가 급락했다.

테슬라의 최대 경쟁업체인 중국의 BYD가 자율주행차(로보택시) 대중화를 선언함에 따라 테슬라 주가가 6% 이상 급락한 것.

11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는 6.34% 급락한 328.50달러를 기록했다.

본문 이미지 - 테슬라 일일 주가추이 - 야후 파이낸스 갈무리
테슬라 일일 주가추이 - 야후 파이낸스 갈무리

이에 따라 시총도 1조570억달러로 줄어 1조달러에 겨우 턱걸이했다. 이로써 테슬라는 시총 7위에서 8위로 한 계단 추락했다.

전일 BYD는 최근 월가에 큰 충격을 준 생성형 AI 업체 딥시크와 협력, 로보택시 대중화를 선언했다.

BYD가 자율주행 시스템인 '천신의 눈'을 모든 차종에 탑재한 것. 게다가 BYD는 이를 모두 무료로 제공했다.

이에 비해 테슬라는 이른바 '풀 셀프 드라이빙'(Full Self-Driving)이라고 불리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출시했다. 소비자가 이를 이용하려면 일시불로 1만2000달러를 내거나 월 이용료로 199달러를 내야 한다.

게다가 이 소프트웨어는 완전 자율 주행이 아니라 운전자가 운전대를 잡고 있어야 하는 등 자율주행 보조 장치에 불과하다.

이 같은 소식으로 테슬라뿐만 아니라 미국의 전기차가 일제히 급락했다. 리비안은 4.23%, 루시드는 2.89% 각각 급락했다. 주가가 1달러 미만으로 떨어진 니콜라는 상승했지만 투기 세력이 유입돼 큰 의미가 없다.

이에 따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테슬라 경영에 집중하지 않으면 BYD와 격차가 더욱 벌어질 것이란 지적이 속출하고 있다.

본문 이미지 -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앞서 미국증시는 딥시크 충격을 받았었다. 중국의 AI 업체 딥시크가 미국 경쟁업체들이 개발한 챗봇보다 일부 우수한 성능의 챗봇을 개발한 것.

놀라운 것은 딥시크가 챗봇 '딥시크-V3' 개발에 투입한 비용이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로, 월가에 AI 열풍을 불러일으킨 오픈AI가 최신 챗GPT에 투자한 비용 1억달러(약 1438억원)의 20분의 1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오픈AI 등 미국의 AI 업체들은 2만개 정도의 전용 칩이 필요한 슈퍼컴퓨터로 챗봇을 훈련한다. 이에 비해 딥시크는 약 2000개의 칩만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이에 특히 경악했다. 일각에서는 AI의 '스푸트니크 쇼크'라는 평가도 나왔다.

본문 이미지 - 중국의 오성홍기와 중국의 AI 업체 딥시크를 합성한 시각물. ⓒ 로이터=뉴스1 ⓒ News1 박형기 기자
중국의 오성홍기와 중국의 AI 업체 딥시크를 합성한 시각물. ⓒ 로이터=뉴스1 ⓒ News1 박형기 기자

이같은 소식이 전해진 이후 엔비디아의 AI 전용칩 수요가 급감할 것이란 우려로 엔비디아가 급락하는 등 미국 빅테크 주가 일제히 급락했었다.

딥시크 충격 이후 BYD 충격이 미국증시를 흔들고 있는 것이다.

sinopark@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