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조용훈 기자 = 지난해 12월 전남 무안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착륙 사고와 관련해, 조종사가 콘크리트 둔덕이 있는 활주로에 착륙한 것은 관제탑의 제안에 따른 조치였다는 녹취록이 일부 언론을 통해 보도됐다. 이에 대해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는 현재 종합적인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8일 일부 언론 보도에 따르면 기장은 당초 콘크리트 둔덕이 없는 1번 활주로에 착륙을 시도했으나, 관제탑의 제안에 따라 19번 활주로로 방향을 변경해 접근했다. 이 결정이 사고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사조위는 다양한 증거를 바탕으로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고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사조위는 유족들에게 최근 사고 직전 4분 7초 분량의 교신 기록 일부를 공개했지만, 이를 둘러싼 논란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사조위는 단순히 교신 기록에만 의존하지 않고, 엔진·비행기록장치(FDR, CVR)·랜딩기어 등 주요 부품을 정밀 검사하고 있으며, CCTV 영상과 레이더 항적 자료 등도 종합적으로 분석 중이다. 특히 조류 충돌 여부와 기장의 복행 결정 타당성, 엔진 결함 가능성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
현재 사조위는 국제 기준에 따른 12단계 조사 절차 중 6단계를 진행하고 있다. 사고 현장에서 수거된 잔해물과 부품은 국내외 전문기관으로 이송돼 분석 중으로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와 프랑스 항공사고조사위원회(BEA)와도 협력하고 있다.

교신 기록에 따르면 기장은 당초 콘크리트 둔덕이 없는 1번 활주로로 착륙을 시도하려 했으나, 관제탑의 제안으로 갑작스럽게 방향을 변경해 19번 활주로를 선택했다.
이 결정이 결국 둔덕과 충돌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관제사의 판단과 기장의 복행 결정이 적절했는지 면밀히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사조위 관계자는 일부 언론 보도가 관제사의 책임을 부각하며 억측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했다. 그는 "관제 교신만으로 사고 원인을 단정할 수 없다"며 "엔진 결함 여부와 기타 부품 분석 등 종합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조위는 최종 보고서를 통해 명확한 사고 원인을 공개할 예정이며, 유족 및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공청회 등을 통해 조사 과정을 투명하게 공유하겠다고 약속했다.
유족들은 교신 기록 전반의 공개를 요구하며 정부를 상대로 정보공개 청구 절차를 밟고 있다. 법률지원단은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지 않고서는 재발 방지 대책도 나올 수 없다"며 모든 자료의 투명한 공개를 촉구했다. 이에 대해 사조위는 조사 과정에서 국제 기준을 준수하면서도 유족들과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12월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희생된 대형 비극으로 기록됐다.
joyonghu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