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신현우 황보준엽 기자 = 정부와 대형건설사 20곳이 만나 건설현장 추락사고 예방을 위한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건설사는 자체적으로 만든 안전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건설사에 스마트 안전장비 개발과 함께 최고경영자(CEO)의 현장 방문 등을 주문했다.
28일 국토교통부·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이날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국토부 주관으로 '건설현장 추락사고 예방을 위한 건설사 소통 간담회'가 진행됐다.
이번 간담회는 앞서 지난달 25일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 현장 상판 구조물 붕괴사고로 10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이후에도 추락사고 인명피해가 지속돼 정부가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간담회에는 삼성물산(028260), 현대건설(000720), 대우건설(047040), 현대엔지니어링(064540), DL이앤씨(375500), GS건설(006360), 포스코이앤씨, 롯데건설, SK에코플랜트, HDC현대산업개발, 한화 등 시공능력평가 상위 20위권 건설사의 최고안전책임자(CSO) 또는 임원이 참석했다.
국토부는 건설사를 대상으로 건설현장 추락사고 예방대책 현장 이행 실태를 점검했다. 특히 건설현장 추락사고 예방대책에서 강조된 위험 표지판 설치, 안전실명제 표지판 설치, 최고경영자 현장 방문 등이 점검에 포함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건설사별로 안전대책을 내놨는데, 스마트 안전장비 운용부터 다양한 내용이 있었다"며 "특히 추락사고 원인 분석을 통한 상세 조치안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건설사들이 추락사고 취약 작업의 설계 기준 변경은 건설사가 관련 규정 변경 전 선제적으로 바꿔 현장에 적용할 의지를 보였다"며 "현장 매뉴얼부터 위험성평가까지 다 상향하겠다고 전했다"고 덧붙였다.
건설사는 추락사고 예방대책 이행 현황을 보고하고, 자체 안전대책 등을 발표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폐쇄회로(CC)TV를 많이 설치해 현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스마트 안전장비 개발을 많이 해달라는 (정부) 요구가 있었다"며 "특히 현장 관리를 위해 CEO의 방문을 강조했다"고 귀띔했다.
앞서 지난달 27일 국토부는 '건설 현장 추락사고 예방 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사망사고가 발생한 대형건설사(시공능력평가 100대 건설사) 명단 공개를 재개하기로 했다. 또 건설사 시공능력·공공기관 경영 평가에 반영되는 안전관리수준평가 시 추락사고 현황을 반영하기로 했다.
건설사 CEO가 현장점검을 통해 근로자 안전을 강화한 성과가 인정될 경우 기술형 입찰 때 가점을 부여할 계획이다. 위험 공종 작업 장소에는 발주처·시공사·감리 담당자의 이름·연락처 등을 기록한 '안전실명제 표지판'을 제작해 부착하도록 했다.
hwshi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