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정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 서초동 사저로 복귀했지만 더 뚜렷해진 정치적 메시지에 서초동발 '막후 정치' 가능성이 커지는 분위기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윤 전 대통령의 이런 행보가 대선 국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12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전날(11일) 오후 한남동 관저에서 퇴거했다. 윤 전 대통령은 관저 퇴거 길부터 사저 복귀까지 정치적 건재함을 과시했다.
관저 앞에서는 배웅하러 나온 청년 지지자들과 일일이 포옹했고, 사저 복귀 길에는 차 안에서 창문을 열고 거리에 나온 지지자들에게 손을 흔들었다.
윤 전 대통령은 변호인단을 통해 발표한 메시지에서도 "이제 저는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 돌아간다"면서도 "나라와 국민을 위한 새로운 길을 찾겠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의 이런 모습은 파면 이후 관저에 칩거한 박근혜 전 대통령과는 다른 모습이다. 파면 이후에도 정치적 행보를 뒷받침할 탄탄한 지지층이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통령은 한때 콘크리트 지지율을 자랑했지만 파면 이후 한 자릿수 지지율로 하락했다. 반면 윤 전 대통령은 탄핵 국면을 지나면서 더불어민주당 등에 반감을 가진 청년과 기존 지지층이 결집했다.
한국갤럽이 11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 탄핵 인용이 잘못됐다고 응답한 비중은 25%에 달했다. 보수층을 기반으로 대선 국면에서 어느 정도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셈이다(자세한 사항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런 영향력을 감안한 듯 윤 전 대통령이 파면 이후 머문 관저에는 나경원·윤상현 의원 등 탄핵 반대를 주장했던 인사들이 찾아오기도 했다.
문제는 윤 전 대통령의 이런 행보가 대선 국면에서 국민의힘에 득보다는 실이 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는 점이다.
윤 전 대통령이 대선 국면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경우 대선은 '이재명 대 윤석열' 구도로 흐를 가능성이 있다. 탄핵 정국의 연장이 되는 것은 민주당이 원하는 구도다.
국민의힘 한 중진 의원은 "헌법 시스템에 의해 결과는 수용하고 새 정치가 될 수 있도록 묵묵하게 돕는 것이 윤 전 대통령의 도리일 것 같다"며 "(그렇지 않으면) 탄핵의 상처를 긁어낼 수 있다. 당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jr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