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검찰, 태양광 관련 업체 쑤셔서 조사…자칫 국제 미아 돼"

"수출로 먹고사는 대한민국, 탄소중립세 미국 관세 타격 이상 될 것"
"3년 허비했지만 지금이라도 재생에너지 대책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2025.4.23/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2025.4.23/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서울·김제=뉴스1) 김경민 임윤지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24일 재생에너지 관련 "적극적이고 신속한 대책을 시행하지 않으면 자칫 국제 미아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전북 김제시 새만금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열린 '건강한 미래에너지' 재생에너지 현장 간담회에서 "대한민국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10%도 아직 안 되기 때문에 앞으로는 심각한 위기를 맞을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땅속에서 원료를 파내거나 가스를 파내서 수입하는 것보단 농촌이나 바닷가에 놀고 있는 공간을 무한한 자연 에너지를 잘 활용하면 일자리도 생기고 지방도 발전하고 균형 발전에도 도움 되지 않을까 싶다"며 "앞으로 그 길로 가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탄소중립세가 곧 현실적으로 도입될 텐데 화석 연료에 의존해서 생산한 모든 제품은 실제로 국제 경쟁력을 거의 잃게 될 것"이라며 "대한민국은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인데 수출에 엄청난 타격을 입게 되고, 아마 미국 관세 타격 이상 될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이 나라가 검찰 국가가 되다 보니까 모든 걸 검찰의 시각에서 재단하게 되는 거 같다"며 "태양광 관련 사업에 무슨 비리가 있는 거처럼. 태양광 관련 업체는 (검찰이) 온 동네를 다 쑤셔서 조사를 해서 피곤해서 못 살겠다"고 했다.

또 "입찰 제도가 문제가 있어서 입찰을 아예 안 해버리겠다는 일이 생겨서 관련 업계가 엄청나게 피해를 보았던 거 같다"며 "오죽 괴롭혔으면 해외 기업도 철수하고 국내 기업도 포기하는 일이 벌어졌을까 참으로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3년이란 시간을 허비하긴 했지만 지금이라도 잃어버린 3년, 그 3년을 보상하고도 빠른 속도로 재생에너지 사회로 신속하게 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요한 두산에너빌리티 전무는 이 자리에서 "아직 국내 풍력 발전 설치 운영은 2.3기가와트(GW)로 매우 미미한 실정"이라며 "정부의 계획대로 풍력 발전이 국내에 원활히 공급되기 위해선 해상풍력특별법 등을 기반으로 중앙 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계획적으로 입지를 조성해 공급 물량을 안정적으로 산업계에 제공해 주는 게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요구했다.

또 "국내 풍력 산업 생태계는 유럽 등 선진 시장보다 아주 초기 단계"라며 "국내 풍력 산업이 반도체, 자동차 등 국내 기존 주력 산업과 같이 어느 정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정부의 전폭적인 정책 토탈 패키지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유재열 한화솔루션 큐셀 부문 한국사업부장(전무)은 "국내 태양광의 보급 규모를 확대해 주셨으면 한다"며 "태양광의 보급 확대와 더불어 이 산업에 대한 육성과 보호 정책이 하나의 패키지로 작용하여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전북은 전력 생산의 61% 신재생 에너지로 조달하고 있고, 대한민국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 중 1위"라며 "여러 인프라 기반으로 탄소 중립을 향해서 '전북특별자치 RE100'이라는 비전을 내걸고 지금 총 현재 계획된 것은 수상 태양광 3기가(G), 해상 풍력 4기가, 총 7기가 발전을 기획하고 추진 중이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문재인 정부에서 이미 계획된 여러 사업 계획이 이 정부 들어 속도를 못 내고 있다"며 "일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게 기업 투자를 원활히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kmkim@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