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대명' 경선룰…김동연 "당당히 임할 것" 김두관 "경선 거부"(종합)

민주, 당원 50%+여론조사 50% 반영 '국민참여경선' 확정
김두관 "DJ·노무현 정신 저버려"…김동연 "치열하게 경쟁"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3일 서울 여의도에 마련된 캠프에서 열린 '유쾌한 캠프의 더 유쾌한 다방' 행사에 참석해 인사하고 있다. 2025.4.13/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3일 서울 여의도에 마련된 캠프에서 열린 '유쾌한 캠프의 더 유쾌한 다방' 행사에 참석해 인사하고 있다. 2025.4.13/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서울=뉴스1) 김일창 박재하 한병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14일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규칙을 당원과 국민여론조사 각 50%로 하는 '국민참여경선'으로 확정하자 김두관 전 의원과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상반된 입장을 내놨다.

김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저버린 민주당 경선을 거부한다"며 "후보들과 협의 없는 경선룰은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고 비판했다.

김 전 의원은 "계엄과 내란이라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정리되면 정치가 복원되는 시간을 빨리 앞당겨야 한다고 생각해 민주당에서 가장 먼저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며 "하지만 당은 2002년보다도 후퇴했다"고 직격했다.

그러면서 "진정 민주당의 미래의 모습이 무엇인지, 대한민국의 정치발전이 무엇인지,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계승하고 국민의 희망을 만드는 일이 무엇인지 고민하려고 한다"며 "당분간 국민과 나라를 위해 제가 어떤 정치적 행보를 하는 것이 좋을지 조언도 듣고 깊은 숙고의 시간을 가질 계획이다"라고 강조했다.

다만 김 전 의원은 "생각하는 시간이 그리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전 의원과 같이 경선 불출마에 무게가 실렸던 김 지사는 "밭을 탓하지 않는 농부의 심정으로 경선에 임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여의도 선거캠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비전과 정책으로 경쟁하겠다"며 "치열하게 경쟁하고 통 크게 단합하는 경선이 되도록 솔선수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당의 원칙인 국민경선이 무너진 점을 안타깝게 생각하지만 당원이 결정한 만큼 무겁게 받아들인다"며 "오늘 이후로 가슴에 묻고 유불리에 연연하지 않은 채 당당하게 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국민만 보고 더 열심히 뛰겠다"며 "정권교체 그 이상의 교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날 중앙위원회의 의결로 당원 50%, 국민여론조사 50% 방식인 국민참여경선으로 당 대선 후보를 선출하겠다고 결론 내렸다.

국민참여경선안에 대해 권리당원 114만 749명 중 38만 9033명이 투표에 참여해 37만 5978명(96.64%)이 찬성했다. 중앙위원은 590명 중 510명이 참여해 492명(96.47%)이 찬성했다.

두 결과를 합산하면 찬성 비율은 96.56%이다.

당은 오는 19일부터 27일까지 주말 이틀을 이용해 호남과 영남, 충청, 수도권 네 개 권역에서 순회 경선을 실시할 예정이다.

본문 이미지 -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공식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4.7/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공식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4.7/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ickim@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