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발' 지하철 요금 상반기 중 150원 인상…2년여 만에 '마무리'

서울시 주요 과제 해결에 속도…경기도의회, 최근 안건 통과
서울시 "상반기 중 목표…이번주 만나 인상 시점 확정"

20일 서울 종로구 종각역에서 지하철을 이용하려는 시민이 개찰구에 교통카드를 찍고 있다.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이 6월 중 1400원에서 1550원으로 150원 인상될 예정이다. 서울교통공사의 심각한 적자 상황 등을 고려해 인상이 확정됐으며,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등 관계기관은 이달 말 정책협의를 통해 정확한 인상 시점을 확정할 예정이다. 2025.4.20/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20일 서울 종로구 종각역에서 지하철을 이용하려는 시민이 개찰구에 교통카드를 찍고 있다.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이 6월 중 1400원에서 1550원으로 150원 인상될 예정이다. 서울교통공사의 심각한 적자 상황 등을 고려해 인상이 확정됐으며,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등 관계기관은 이달 말 정책협의를 통해 정확한 인상 시점을 확정할 예정이다. 2025.4.20/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시민의 발' 서울·수도권 지하철 요금이 상반기 중 150원 추가 인상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지하철 요금 인상은 1400원에서 1550원으로 '300원 인상'을 예고한 지 2년여 만에 최종 마무리를 앞두게 됐다.

21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경기도의회는 지난 15일 임시회를 열고 '경기도 도시철도 운임 범위 조정에 대한 도의회 의견청취안'을 의결했다.

해당 안건은 현재 1400원인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을 1550원으로 150원 인상하는 내용으로, 경기도는 앞으로 도 소비자정책위원회 등을 통해 요금 인상을 위한 행정적 절차를 마무리한다.

이후에는 요금 시스템을 운영하는 티머니가 요금 시스템 개편에 나선다. 서울시는 앞서 한 차례 150원을 올릴 당시 요금 인상과 관련한 각종 절차를 마무리한 바 있다.

요금 인상의 정확한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서울시와 경기도,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등 관계기관 모두가 요금 인상에 공감하고 있는 만큼, 상반기 중 요금 인상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다.

사실상 가장 많은 노선을 보유, 결정권을 쥐고 있는 시는 6월 중 요금 인상을 목표로 잡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주 중 관계기관이 만나 요금 인상의 정확한 시점을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상반기 중 요금이 인상되면 이는 '300원 인상'을 발표한 지 2년여 만의 마무리다. 시는 지난 2023년 10월 지하철 기본요금을 1250원에서 1400원으로 150원 인상하면서 2024년 하반기 나머지 150원을 추가로 인상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당시 정부가 물가 억제 기조를 강조함에 따라 시는 이같은 계획을 접어야만 했다.

이후 시는 올해 초 3월 중 요금을 인상하겠다고 했으나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간의 갈등 여파로 요금인상안은 경기도의회에 상정조차 되지 않았다. 여기에 오세훈 서울시장의 대통령 선거 출마로 요금 인상 추진에 동력이 떨어질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왔으나 경기도의회에서의 안건 통과, 오 시장의 불출마로 인해 본격 속도가 붙었다는 설명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6월 초 치러지는 대통령선거로 인해 지하철 요금 인상 시기가 6월 말, 혹은 하반기로 미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대선 등 큰 이슈가 있는 상황에서 서울시가 지하철 요금 인상을 강행하기에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대선 등 6월 중 큰 이슈가 있긴 하지만 상반기 중 요금 인상을 목표로 잡고 있다"며 "관계기관과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jung9079@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