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뉴스1) 윤왕근 기자 = 강원 강릉시가 올해 시군 통합 30주년을 맞아 통합 당시 인구 22만 명 회복을 위해 행정력을 총동원하겠다고 20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지난 1995년 시군 통합 당시 강릉시 인구는 22만 3539명이었으나, 2000년 23만 3121명으로 고점을 찍고 작년 말 말 20만 7731명까지 지속 감소하고 있다.
주된 인구감소 요인으론 자연 감소(출생-사망)로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넘어서고, 전입보다 전출이 증가하는 '데드크로스' 심화 현상이 지목된다.
이에 시는 일자리 창출을 통한 청년 인구 유입만 골든크로스 변곡점을 이뤄낼 수 있다고 보고 기업 하기 좋은 여건이 마련된 경제도시 조성에 총력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시는 작년 12월 '강릉시 인구 늘리기 지원에 관한 조례' '강릉시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에 관한 조례' 개정을 완료했다.
아이돌봄서비스 지원은 생후 3개월~12세 아동을 둔 가정에 아이돌보미를 파견,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는 소득 유형에 따라 20~50%였던 이용자 본인부담금을 올해부터 40~80%까지 확대 지원한다.
시는 또 올해 초중고 입학준비금(4700여명, 1인당 20만~30만 원)을 지원한다. 정·난관 복원 시술비 지원도 최대 50만 원까지로 확대되고, 다자녀 가정 지원을 위한 공공시설 이용료 등 감면 혜택도 늘어난다. 시는 조례 개정을 통해 다자녀 가정 기준을 기존 '3자녀'에서 '2자녀'로 완화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시는 미전입 근로자 주소 옮기기 실천 및 범시민 '강릉 주소 갖기' 운동 홍보 등을 통해 인구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동참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입 세대를 위한 전입 축하금도 지원한다.
김홍규 강릉시장은 "사업하기 좋은 여건, 기업 하기 좋은 여건을 만들어 우리 지역에 많은 기업이 스스로 찾아오게 하고, 이를 통해 경기 활성화, 지방재정 확충, 인구 증가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wgjh6548@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