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박동해 기자 = 상법 개정이 불발되자 사퇴 의사를 밝혔던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임기가 끝나는 6월 초까지 직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상호관세 부과 현실화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따른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로, 본인 거취보다 시장 안정과 위기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 원장은 최근 금감원 간부들에게 최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금융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당분간 금감원장직을 지키겠다는 뜻을 전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직접적으로 이야기한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간접적이긴 하지만 (이복현 원장이) 현재의 급박한 시장 상황을 수습하기 위해 당분간 직을 유지하겠다는 뜻을 전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이 원장은 지난 2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자리에서 1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로 상법 개정안이 폐기되자 법상 상급자인 김병환 금융위원장에게 자리에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전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이날 방송에서 이 원장 사의 표명 이후 최상목 경제부총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로부터 '시장 상황이 어려우니 자중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일단 뜻을 굽혔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상법 개정의 필요성을 강조해 온 이 원장은 정부의 거부권 행사에 반대하며 '직을 걸겠다'고 밝혀왔다. 이에 탄핵 선고가 마무리되면 재차 사의를 표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지만 이 원장은 이후 거취에 대한 언급은 삼가며 계획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이 원장은 이날 금융위원장 주재로 열린 금융상황 점검회의에 참석했으며 이달 중국·홍콩 출장과 다음 달 스위스 바젤 출장 일정도 취소하지 않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상호관세, 탄핵 등으로 시장 상황이 안 좋은 상황이라 (이 원장이) 직을 내려놓는 데 부담을 느끼는 것 같다"라며 "산적한 과제를 두고 도망가는 모습으로 비칠 수도 있기 때문에 상황이 수습될 때까지 직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potgu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