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임용우 기자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지원을 33조 원으로 대폭 확대하고, 재정도 2026년까지 4조 원 이상 투입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미국 정부가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했고 반도체, 의약품 분야도 품목별 관세부과가 예고돼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부총리는 "글로벌 통상전쟁을 맞이한 우리 기업의 전력 보강을 지원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라며 "전력·용수 등 인프라 구축을 파격적으로 지원하겠다. 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 송전선로 지중화 비용 1조 8000억 원 중 기업 부담분에 대해 국가에서 70%를 분담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의 인프라 국비 지원 비율을 기존 15~30%에서 30~50%로 대폭 상향하고, 투자 규모 100조 원 이상 대규모 클러스터의 경우 국비 지원 한도를 500억 원에서 1000억 원까지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첨단 소재·부품·장비를 생산하는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투자보조금을 신설하고, 이번 추경에 700억 원을 반영했다"며 "반도체 저리 대출도 3조 원 이상 추가 공급해 3년간 총 20조 원 규모로 확대한다. 실제 양산 환경에 근접한 미니팹 신설을 적극 지원해 K-반도체 기술혁신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했다.
반도체 팹리스(설계 전문) 기업 지원에 대해 최 부총리는 "추경을 통해 팹리스 기업들이 공동 활용할 수 있는 고성능 AI(인공지능) 반도체 실증 장비를 연내 2대 추가 도입하고, AI 반도체 기업과 수요 기업 간 실증 사업을 2.5배 확대하겠다"고 부연했다.
우수 인재 확보와 관련해 최 부총리는 "국내 신진 석·박사 연수·연구 프로그램과 해외 인재의 국내 체류형 글로벌 공동연구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반도체 아카데미를 수도권에서 전국으로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phlox@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