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지완 기자 =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대통령 중동 문제 특사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해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 지배권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그의 친러시아 행보에 공화당 일각에서도 우려가 나오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우크라이나 문제를 둘러싼 트럼프 행정부의 난맥상도 드러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11일(현지시간) 미국 관리 2명과 소식통 5명을 인용해 위트코프 특사가 지난 2일 미국 워싱턴을 방문한 키릴 드미트리예프 러시아 직접투자펀드 회장과 만난 지 48시간도 지나지 않아 트럼프 대통령에게 우크라이나 휴전을 위한 가장 빠른 길이 러시아가 2022년 전쟁 이후 새로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의 지배권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보고했다고 보도했다.
미국은 러시아가 점령한 영토를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
이에 대해 키스 켈로그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는 "우크라이나가 영토 관련 일부 조건은 협상할 수 있어도, 지배권을 넘겨주는 것에는 결코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반대했다.
결국 이날 회의는 결론이 나지 않은 채 끝났다. 이후 위트코프는 11일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4시간 30분 동안 만나 우크라이나 문제를 논의했다.

부동산 전문 변호사로 트럼프 대통령과 40년간 친구 사이로 지내온 그는 중동 특사를 맡으면서 2월 러시아 모스크바를 방문해 러시아에 억류됐던 미국인 마크 포겔의 석방을 성사시킨 이후 사실상의 러시아 특사 역할도 맡고 있다.
그러나 위트코프가 지난달 21일 보수 논객인 터커 칼슨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 점령지 주민들이 선거를 통해 러시아 통치를 바란다는 목소리를 냈다"고 발언하면서 공화당에서도 그에 대한 불만이 높아졌다. 한 소식통은 이 발언 후 공화당 의원들이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을 불러 불만을 토로했다고 전했다.
지난달 26일에는 공화당 주요 기부자인 에릭 레빈이 공화당 기부자 그룹에 보낸 편지에서 "위트코프는 물러나고 루비오가 그 자리를 차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트럼프 행정부의 난맥상도 드러나면서 동맹국의 불안도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국가안보위원회(NSC)는 과거와 달리 이 문제에 대해 행정부 최고위 인사들이 참여하는 회의를 단 한 번밖에 열지 않았다.
2명의 미국 관리와 서방 외교관 등 12명 이상의 소식통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의 일부 관리들은 러시아가 위트코프의 경험 부족을 이용하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와 접촉하고 있는 2명의 서방 외교관은 미국이 러시아가 계속 휴전을 지체할 경우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명확한 계획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 중 한명은 "우리는 때때로 행정부의 여러 부서에서 서로 상충하는 이야기를 듣는다"며 "그것도 실제 계획이 없다는 느낌을 더해준다"고 토로했다.
gw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