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전쟁 '내란범' 된 머스크…"바보 천치, 무관세 해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 (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테슬라 사이버 트럭 옆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악수를 하고 있다. 2025.03.12 ⓒ 로이터=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일 (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테슬라 사이버 트럭 옆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악수를 하고 있다. 2025.03.12 ⓒ 로이터=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관세를 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간의 이견이 불거지며 트럼프가 중국은 물론 머스크와도 싸우고 있다고 미국의 경제 포털 ‘야후 파이낸스’가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중국에 145%의 관세 폭탄을 퍼붓는 등 관세를 크게 선호한다.

이에 비해 제조업체인 자동차 기업을 운영하는 머스크는 체질적으로 관세를 싫어한다. 미국에서 파는 모든 차를 미국에서 제작한다고 해도 관세로 부품 가격이 올라가 자동차 제조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는 더 나아가 무관세를 선호한다.

지난 주말 머스크는 트럼프와 독대해 관세 부과를 하지 말 것을 설득했으나 실패했다고 야후 파이낸스는 전했다.

트럼프와 머스크의 알력이 표면화되지는 않고 있다. 대신 무역 정책의 배후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 고문과 머스크가 정면 충돌하고 있다.

본문 이미지 - 피터 나바로 트럼프 대통령 무역·제조업 수석고문 ⓒ 로이터=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피터 나바로 트럼프 대통령 무역·제조업 수석고문 ⓒ 로이터=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머스크는 지난 8일 나바로를 “바보 천치”라고 부르는 등 연일 그를 비판하고 있다.

머스크는 또 동생의 입을 빌려 트럼프 관세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킴벌 머스크는 지난 7일 X에 올린 글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미국 소비자에 대한 구조적이고 영구적인 세금”이라며 "즉시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문 이미지 - 테슬라 최고 경영자 일론 머스크의 동생 킴벌 머스크. 테슬라 이사회 멤버다. ⓒ AFP=뉴스1 ⓒ News1 박형기 기자
테슬라 최고 경영자 일론 머스크의 동생 킴벌 머스크. 테슬라 이사회 멤버다. ⓒ AFP=뉴스1 ⓒ News1 박형기 기자

이뿐 아니라 테슬라 명의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에게 서한을 보내 관세가 부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머스크가 트럼프와 각을 세우고 있는 것이다.

이는 트럼프 당선 직후와는 큰 변화다. 트럼프는 취임식 연설에서 머스크에 대한 칭찬을 아끼지 않으며 “화성에 성조기를 꽂겠다”고 선언하는 등 머스크와 브로맨스를 자랑했었다.

그러나 관세를 두고 이견이 불거짐에 따라 관계가 소원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머스크의 테슬라 복귀가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고 야후 파이낸스는 전했다.

sinopark@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