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뉴스1) 류정민 특파원 = 조현동 주미한국대사는 26일(현지시간) 한미 양국이 북한 핵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앞으로 '북한 비핵화'라는 표현을 쓰기로 했다고 밝혔다.
조 대사는 이날 워싱턴DC 한국문화원에서 특파원단 간담회를 갖고 "이전까지는 비핵화와 관련해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 비핵화'라는 표현을 혼용한 측면이 있었는데, 미국 측과 북한 비핵화로 일관되게 사용하기로 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 합의로 인해 미일 정상회담과 한미일 외교장관회담 등 고위급 회담 후 발표한 문서에 북한 비핵화라는 표현을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한반도 비핵화는 북한뿐만 아니라 한국의 핵무기 보유와 배치를 배제하는 표현이지만, 북한 비핵화는 이미 실질적으로 핵무기를 보유한 북한의 핵무장 해제에 좀 더 초점을 두고 있다.
조 대사는 "안보 분야에서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한미 양국 공동의 목표를 분명히 견지하면서 확장억제와 연합방위 태세를 더욱 공고히 해나갈 수 있도록 협의하겠다"라고 했다.
그는 한미 간 협력이 기대되는 분야로 조선, 원자력, 천연가스개발 등을 거론했다.
조 대사는 "최근 미국 NSC(국가안보회의) 내에 해양 전략과 정책을 담당하는 조직이 신설됐다"면서 "미국 해군 함정 및 해양경비대 선박을 동맹국 조선소에서 건조할 수 있는 법안이 발의되는 등 좋은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라고 했다.
이어 "정부는 조선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한미 간 협력 잠재력을 최대한 살리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한 정부 고위당국자는 "조선업은 해군 전력 강화 측면에서 협력이 부각되고 있고 미국 행정부 내에서도 이에 대한 상당한 지지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다만 일반적인 조선업에 있어서는 지역구의 이해관계를 고려해 부정적인 의원들도 상당수 있다"라고 했다.
이 고위당국자는 또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의국방장관의 경우 최근 3월 방한 예정이라는 보도가 있었는데 확정된 바 없다"면서 "다만 과거 사례를 보면 미국 신행정부 출범 이후 가까운 시일 내에 국방장관이 아시아 동맹국을 순방해 온 관행이 있다"라고 했다.
아울러 조 대사는 "미국이 일본, 인도와 정상회의에서는 자국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강조하는 등 에너지 개발 수출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면서 "알래스카 주지사와 최근 LNG 개발 계획에 대해 청취했고 우리 기업과의 협력에도 큰 관심을 갖고 있었다"라고 밝혔다.
관세와 관련해서는 "트럼프 행정부 초기의 정책 이행 과정이 빠르고 강하게 추진되고 있다"면서 "우리 정부는 변화와 불확실성으로 인한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면서 새로운 기회를 살릴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라고 말했다.
조 대사는 "지난주 이민정책 간담회를 여는 등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국경정책이 동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기에 정보를 제공하려 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 정부 당국자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추방된 한국 국민은 56명이며, 현재까지는 작년 추세에 비해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ryupd0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