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면서 해외 원조를 중단한 가운데 해외 원조를 담당하던 미국 국제개발처(USAID) 소속 직원들이 대거 직무정치 조치를 당했다.
로이터 통신과 CNN 등에 따르면, 소식통들은 USAID의 입법 및 공공 업무국 등에서 근무하는 약 30명의 직원들이 하룻밤 사이 이메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상실했다고 밝혔다. 지난 한 주 동안 직무 정지된 USAID 직원은 약 100명에 이른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에서 신설된 정부효율부(DOGE) 관계자들의 USAID 진입을 막아선 최고 보안 관계자 2명이 주말 동안 직무 정지 조치를 받았다.
익명을 요청한 한 민주당 상원의원 보좌관은 "DOGE가 전날 (USAID) 건물에 접근했고 USAID 보안 요원들은 보안 허가가 없는 DOGE 관계자들의 출입을 막으려 했다"며 "이에 DOGE 관계자들은 보안 요원들에게 연방보안청(USMS)을 불러 조치를 취하겠다고 위협했다"고 설명했다.
결국 DOGE 관계자들은 USAID 건물 내부로 진입했고, 보안 사무실과 행정국을 포함한 여러 보안 구역에 접근했다. 소식통들은 DOGE 관계자들이 어떤 정보를 확보했는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그들이 접근한 사무실에 기밀 문서와 USAID 직원들의 개인정보가 포함돼 있었다고 말했다.
DOGE 수장인 일론 머스크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를 통해 "USAID는 범죄 조직. 이제 죽어야 할 때"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DOGE가 기밀 정보에 접근했을 가능성에 대해 비판했다.
진 섀힌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민주당 간사는 "적절한 보안 허가를 받지 않은 인원들이 USAID 기밀 구역과 미국 시민들의 개인 정보에 접근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는 매우 심각하고 전례 없는 일"이라며 "이번 사안이 국가 안보에 미칠 영향을 즉각 조사하고 있으며 상원이 다시 개원하는 대로 초당적으로 함께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케이티 밀러 DOGE 대변인은 엑스(X)를 통해 "적절한 보안 허가가 없으면 기밀 자료에 접근할 수 없다"며 DOGE 관계자들의 기밀 정보 접근을 부인했다.
USAID는 지난 1961년 존 F. 케네디 대통령 당시 인도적 지원을 위해 설립한 부처로 1만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매년 전 세계에 수십억 달러를 지원하며 빈곤 완화, 질병 치료, 기근 및 자연재해 대응을 위한 활동을 수행하고 민주주의 증진과 개발을 촉진하는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달 모든 연방 보조금 집행을 일시 중단하면서 해외 원조도 대부분 동결됐다. 이에 태국 난민캠프 야전병원, 분쟁지역 지뢰 제거, 에이즈(HIV) 환자 치료용 의약품 제공 등 원조 프로그램들이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USAID를 국무부 산하로 격하시킬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yellowapoll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