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기범 박세연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 상정으로 논란을 일으킨 국가인권위원회 전원위원회가 결국 파행됐다. 인권위 직원들과 시민단체 등이 회의실 앞에서 규탄 시위에 나서자 안창호 인권위원장 등 인권위원들이 발길을 돌렸다.
인권위는 13일 오후 3시 '2025년 제1차 전원위원회'를 열 예정이었으나 현재까지 회의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인권위 직원이 포함된 전국공무원노조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등 시민단체는 이날 오후 2시 넘어서부터 전원위 회의가 열리는 서울 중구 인권위 건물 14층 회의실 앞 복도에서 '내란 동조 긴급 안건' 철회를 촉구하며 규탄 시위에 나섰다.
이들은 '내란 동조 반대한다', '내란위원회 규탄! 인권위로 복귀하라' 등 손팻말을 들고 회의장에 진입하려고 한 안 위원장을 비롯해 이충상, 김용원 등 상임위원들의 출입을 가로막았다.
인권위는 이날 전원위를 개최하고 △국회의장은 국무총리 한덕수에 대한 탄핵소추를 철회해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수행하도록 할 것 △헌법재판소장은 국무총리 한덕수에 대한 탄핵 심판 사건을 다른 탄핵 심판 사건들에 앞서 신속하게 심리하고 결정할 것 △대통령 윤석열에 대한 탄핵 심판 사건에서 피청구인의 방어권을 철저히 보장할 것 등의 안건을 상정해 논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해당 안건이 상정됐다는 사실이 알려진 후 인권위가 내란에 동조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에 직면했다.
인권위 직원들을 포함한 전국공무원노조는 이날 오후 인권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2·3 비상계엄 사태로 국민의 인권이 침해되는 중대한 상황에서 한 달여 동안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던 인권위가 오히려 내란 주범들을 두둔하는 권고를 결정하려 하고 있다"며 안창호 위원장과 일부 위원들의 사퇴를 촉구했다.
앞서 이날 오전 시민단체 국가인권위원회 바로잡기 공동행동,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등은 인권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상계엄 포고령은 인권과 민주주의의 기본인 정치활동, 집회, 출판, 언론의 자유를 박탈하고 영장 없는 체포와 '처단'을 예고하며 온 시민의 인권을 침해했다"며 "반인권적인 비상계엄에 동조하는 안건"이라고 비판했다.
인권위 관계자는 "오늘 회의는 힘들 거 같다"고 전했다.
Ktig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