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장성희 기자 = 의대생들이 학교에 복학한 지 2주가 지났지만 일부 대학 본과생들의 수업 복귀 이후 수업 참여율이 정체되자 각 의대 총장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의료계는 정부를 향해 이번 주 내로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확정할 것을 촉구했으나 대학 현장에서는 "수업 참여가 우선"이라는 입장을 보이며 의료계와의 온도 차를 드러내고 있다.
10일 대학가에 따르면 서울대를 제외한 '빅5' 의대(가톨릭대·성균관대·연세대·울산대·고려대) 대표들은 9일 공동성명서를 통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 '등록 후 투쟁' 방향성을 존중하며 수업 거부를 지속하겠다고 발표했다.
서울대와 부산대 등 일부 대학에서 본과생을 중심으로 수업 참여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지만, 수업 거부를 주장하는 강경파의 영향력이 여전히 큰 셈이다. 아주대 신입생들도 공식적으로 "수강 신청을 포기하고 수업을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각 대학은 오는 30일까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확정·제출해야 한다. 이에 대한의사협회 등 12개 단체로 구성된 한국의학교육협의회는 7일 '의과대학 학사 정상화를 위한 협조 요청' 공문을 교육부에 보내 정원을 조속히 3058명으로 확정해 달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학생들의 수업 참여가 저조한 현장에서는 우선 학생들이 강의를 들어야 의대 정원 3058명도 확정할 수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비수도권 사립 의대 A 총장은 "(정원 확정 논의보다) 수업 정상화가 우선이라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서울 소재 의대 B 총장은 "(총장이) 할 수 있는 일은 학생들을 빨리 수업에 돌아오게끔 하는 것 말고는 없다"고 말했다.
일부 총장은 수업 거부가 지속되자 의대 정원을 증원 전으로 돌리는 것에 회의적이라고 알려졌다. A 총장은 "(의대 정원 3058명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시는 분도 있다고 이야기를 들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의과대학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 관계자는 의대 정원 확정과 관련해 "의대생들이 돌아오는 추이를 조금 더 봐야 할 것 같다"며 "학생들의 복귀를 최우선 과제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도 여전히 내년도 의대 정원에 대해선 수업 학생이 더 많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의대 정원 확정은) 빠를수록 좋다"면서도 "수업 참여율을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투쟁을 선포하는 대학이 늘어나거나, 학생들의 수업 거부가 장기화할 경우 이 같은 교육부의 판단도 더 길어질 전망이다.
grow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