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보조배터리의 기내 반입 시 비닐봉지에 투입하는 것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2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보조배터리 비닐투입에 대한 실효성 논란이 있다는 맹성규 국토교통위원장의 지적에 "전문가 내지는 종사자들의 의견을 들어보겠다"며 "환경문제를 유발한다는 지적도 있어 종합적으로 다시 한번 따져보겠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이달부터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에 공문을 보내 보안검색 시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를 꺼내 바구니에 담고 필요시 비닐봉지를 제공하라고 지시했다. 기존에는 항공사에서만 비닐봉지를 배포했다.
항공기가 활주로를 벗어났을 때 속도를 늦춰주는 장치인 이마스(활주로이탈방지시스템)와 관련해 박 장관은 "종단안전구역 240m 확보가 불가능한 지역 위주로 설치하려 한다"며 "확보 가능한 지역은 구역부터 먼저 하려고 한다"고 했다.
박 장관은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사고와 관련해서는 지하공사 설계기준 등 관련 사항을 전면 재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까지의 지하공사 설계기준과 부실공사를 방지하기 위한 입찰관리, 관리감독 등을 전면 재점검할 것"이라며 "사고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번 건 뿐만 아니라 다른 사고에서도 대응이 가능한 방안을 마련해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박 장관은 민자철도사업 관련 관리감독에 대해 "민자사업이든 재정사업이든 실제 현장에서는 똑같이 건설공사가 이뤄지는 것이기에 모두 안전관리를 소홀히 할 수 없다"며 "민자사업 전반에 대한 관리체계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점검하겠다"고 설명했다.
사고 이전 신안산선에 대한 지반상태 불량 등이 지적됐음에도 설계가 개선되지 않았다는 비판에는 "설계가 잘못됐는지, 설계에 추가 정보가 반영 안됐는지, 반영됐지만 시공서 적용이 안됐는지 등을 객관적으로 사고조사위원회에서 조사해서 결론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또 "철도지하화사업,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여러 지하공사를 많이 하고 있고 앞으로도 할 계획인 만큼 조금 더 철저한 점검과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지하공간통합지도 서비스가 무용지물이라는 지적과 관련 "싱크홀이나 지반침하에 대해 통상적으로 해오던 관행과 제도를 근본적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며 "예측과 방재가 될 수 있는 쪽으로 할 것"이라고 했다.
비상 위험시 현장 작업중지권한과 관련해서는 재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박 장관은 "붕괴가 발생하기 전에 고용노동부에서 작업중지공문을 시행자에게 보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정확한 내용은 경찰수사로 드러날 것"이라며 "이같은 위급현장에서 국토부든 고용노동부든 현장 관리 권한을 다시 한번 따져 보겠다"고 덧붙였다.
d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