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신현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자지구 점유 의사를 밝히면서 국내 건설사의 해외수주 불확실성이 확대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으로 원자잿값 인상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중동 수주까지 줄어들 가능성이 커져서다.
다만 국내 주요 기업이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해 미국 내 공장을 증설할 경우 건설 계열사의 수주 물량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일부 건설사는 국제 정세가 불안한 만큼 수주에 신중히 접근할 계획이다.
5일 건설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이날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지지구 재건·점유 의사 소식이 전해지자 일부 국내 건설사들은 향후 해외 수주에 보수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국제 정세 불안 속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중동 수주액은 국내 전체 수주액의 50%를 차지하며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기업의 해외건설 수주액은 371억 1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1.4% 증가했다. 지역별 수주액은 △중동 185억 달러 △아시아 71억 달러 △유럽 50억 달러 △북미·태평양 47억 달러 등이다.
국가별 수주액은 △사우디아라비아 119억 달러 △카타르 47억 달러 △미국 37억 달러 △헝가리 27억 달러 등으로, 공사종류별 수주액은 △산업설비 243억 달러 △건축 52억 달러 △용역 38억 달러 △전기 20억 달러 등으로 각각 집계됐다.
해건협 관계자는 "중동에서 2015년 이후 최대인 185억 달러의 수주고를 올린 반면 국내 제조사의 미국 내 자동차·배터리·반도체 등 공장 건설은 전년 대비 줄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강화 움직임에 따라 미국 내 공장 확장 및 건설이 다시 늘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점유 발언이 수주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공사비를 달러로 받는데, 중동에서 마찰이 있을 경우 지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혹시라도 미국에서 일부 국가를 제재할 경우 수주에 보수적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또 다른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산유국은 달러 대신 기름으로 공사비를 치르겠다고 할 수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유가를 낮추겠다고 한 만큼 지급 수단으로 대안이 될 수 없다"며 "중동 정세가 불안하면 수주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했다.
수주 환경 변화를 섣불리 예단하지 않고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김화랑 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중동 수주 환경의 불확실성이 일부 확대될 수 있으나 예측이 쉽지 않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를 보면 시시각각 변하는 부분이 있고, 아랍국가들이 가자지구 점유에 대한 의견을 아직 다 내놓지 않아 상황을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이어 "관세 강화를 떠나 국내 제조사의 미국 내 공장 증설 등은 해당 제품에 대한 (미국 내) 수요가 얼마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중동이나 미국 수주 환경 변화를 관망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hwshi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