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일창 기자 = 이재명·김동연·김경수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들이 19일 충북 청주에서 첫 합동연설회에 나서는 가운데 세 사람의 주요 공약이 크게 '이재명 대 김동연·김경수' 구도로 굳어지는 양상이다.
이런 구도는 조세 정책에서 두드러진다. 이 후보가 증세보다 지출 조정을 통한 재정건전성에 방점을 찍은 반면, 나머지 두 후보는 국가의 적극적인 재정 확대로 지금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날(18일) 열린 후보 간 첫 TV토론회에서 김동연 후보가 "표를 의식한 '표퓰리즘' 감세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며 이 후보의 보수적인 태도를 지적하자, 이 후보는 "(전) 정부의 잘못을 민간에 떠넘기는 증세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응수했다.
김경수 후보는 "이 후보가 말한 조세 재정이나 세출 조정만으로는 지금 필요한 재정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김 후보의 말을 거들었다.
대통령에 당선되면 집무실을 어디로 할 것인지를 놓고도 비슷한 구도가 형성됐다.
이 후보는 TV토론회에서 처음으로 관련 입장을 내놓으며 "용산 대통령실을 쓰면서 신속하게 청와대를 보수해 들어가는 것이 좋겠다"며 "임기 내 세종 집무실을 완공하면 마지막 종착지가 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충청권 공약을 발표하면서 임기 내 국회 세종의사당 및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건립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다른 두 후보는 임기 시작과 동시에 세종으로 내려가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김경수 후보의 의지가 강한데, 그는 세종시청에서 대선 경선 출마를 선언하며 완전한 세종 행정수도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김동연 후보는 토론회에서 "세종에 제2 집무실과 국무회의실이 있기 때문에 대통령실 조직을 슬림화하면 (대선) 다음 날(임기 시작일) 이전해 집무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권력분산 개헌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 후보는 내란종식 우선과 국민투표법 개정 문제 등으로 난색을 보이고 있지만, 두 후보는 개헌에 관한 적극적인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비슷한 공약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 후보와 김경수 후보는 인공지능(AI) 정책에서 비슷한 정책을 내놨다.
이 후보는 "AI는 동시대 세계 경제의 판도를 바꿀 게임체인저"라며 △100조 원 투자 △국가AI위원회 위상 강화 △국가 AI 데이터 집적 클러스터 조성 △GPU 최소 5만 개 이상 확보 △인재 양성 △과학·기술·공학·수학(STEM) 교육 강화 △지역 거점대학 AI 단과대 설립 △병역 특례 △규제 합리화 △국민 무료 AI 보급 등을 내걸었다.
이를 통해 세계 3대 AI 강국으로 발돋움하겠다는 것이다.
김경수 후보도 "AI 주권 확보와 산업의 전환은 전략적 국가투자의 핵심 분야"라며 "집권 시 향후 5년간 총 100조 원 규모의 민관 공동투자로 한국형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산업별로 특화된 AI 혁신 프로젝트 지원으로 산업과 사회의 AI 대전환에 정부가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ic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