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서미선 손승환 기자 = 국민의힘이 6·3대선을 앞두고 공정한 보상 체계와 세대 공존 일자리 구조를 만들기 위해 직무성과급 중심 임금체계 개편과 함께 정년 유연화, 계속고용제 도입을 추진한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성과에 정당한 보상이 따르고 실력과 노력이 연봉을 결정하는 사회가 공정한 대한민국의 시작"이라며 이같은 내용의 당 임금체계 개혁정책안을 발표했다.
권 위원장은 "연공서열 임금체계의 낡은 틀 안에서 청년의 창의도 기업의 혁신도 꽃피우기 어렵고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도 보장할 수 없다"며 먼저 직무성과급 중심 임금체계 개편 추진 방침을 표했다.
그는 "임금 총액은 유지하되 초임자와 고연차 간 보수격차 완화, 성과와 책임이 연동되는 구조를 바꿔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며 "특히 능력 있는 젊은 인재에 실질적 기회를 보장하겠다"고 말했다.
정년 유연화와 계속고용제 도입도 추진한다.
그는 현행 정년 60세에 대해 "현재 63세, 향후 65세까지 상향될 연금 수령 시기와도 심각한 불일치 문제를 불러온다"며 "정년은 끝이 아닌 경험이 자산으로 전환되는 시작이어야 한다. 중장년층 경륜이 우리 사회에서 계속 쓰일 수 있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정책 취지를 설명했다.
또 "청년에겐 더 많은 기회를 중장년에겐 합당한 존중을 어르신에겐 생활 안정을 드리는 개혁을 추진하겠다. 기업의 창의와 역동이 살아나는 노동시장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민의힘은 250만 재외국민 투표 환경 개선 및 관련 법과 제도 정비에도 나서겠다고 했다. 이번 조기 대선 재외국민 국외 부재자 신고와 재외선거인 등록 마감일은 이날로 일주일 남았다.
권 위원장은 "원칙적으로 공관에만 투표소가 있어 먼 길을 가야 하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현행 제도의 한계"라며 "불편한 제도는 확실히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국 대한민국이 자유와 번영의 길을 이어갈 수 있도록 소중한 한 표를 올바르게 행사해 주길 부탁드리며 국민의힘은 재외국민의 뜻을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smit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