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박소은 기자 =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K-엔비디아' 발언을 놓고 "국세 규모가 얼마인지도 모르는 것 같다"고 4일 비판했다.
이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김영수의 뉴스파이팅에서 "국민 세금, 공적 자금을 가지고 국민연금이든 국부 펀드든지 간에 그런 걸 하겠다는 발상 자체가 (문제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이 대표는 민주연구원 유튜브에 출연해 한국에 엔비디아 같은 회사가 있다는 것을 가정, "70%는 민간이 가지고 30%는 국민 모두가 나누면 굳이 세금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는 사회가 오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국민 펀드나 국가가 빅테크의 지분을 갖고 있다면 모두에게 부가 돌아갈 수 있다는 취지다.
이 의원은 해당 발언을 두고 "빅테크 기업을 사실상 일부 국유화하면 그 이윤으로 세금을 없앨 수 있다는 얘기를 한 것"이라며 "예시로 든 엔비디아는 작년 배당률이 0.033%였다. 거의 배당을 안 한다는 얘기다. 세금이라는 건 현금이 계속 들어와야 하는 것인데, 배당을 하지 않는 성장주 성격의 주식에 투자하는 게 세금을 대체할 수 있는지를 두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빅테크 기업은 중간에 부침을 많이 겪기 때문에 지분 희석이 계속된다. 젠슨 황이라는 창업자도 원래 IPO(기업공개) 할 때까지만 해도 지분이 20%였다. 지금은 3.5% 정도 남았다"며 "구호는 아무거나 만들어서 마케팅용으로 하실 수 있지만 실제 세부 정책 준비는 안 돼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했다.
김세환 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이 재임 시절 2022년 대선과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관위 명의의 '세컨폰'을 개통하고 정치인에게 연락했다는 논란을 두고는 "결국 부정선거를 좋아하는 분들에게 소구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결국 국민들에게 선관위 이미지를 저하시키고 부정선거가 있었겠구나라는 그런 착각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며 "당시에 논란이 됐던 세컨폰 논란이 있는 이 사무총장분이 국민의힘 후보로 강화군수 선거에 도전했다가 경선까지 치른 분이다. 팩트 체크도 제대로 안 하고 들이미는 걸 보니까 다급한 것 같다"고 했다.
이 의원은 조기대선 국면에서 국민의힘 등과 연대 가능성을 두고 "손잡을 생각 없다"며 "개혁적인 방향으로 뭔가 도모하는 사람이 있으면 얘기는 해 볼 수 있는데 그런 사람이 어차피 국민의힘에서 후보가 될 일도 없다"고 했다.
한편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 지도부를 만나 '대표가 사사건건 대립각을 세우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발언한 것이 한동훈 전 대표를 겨냥했다는 주장을 두고는 "정치적인 면에서 한 대표를 잘 알지 못하고 그런 말씀하신 것에 대해 크게 의미를 둘 필요는 없는 것 같다"고 했다.
sos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