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심언기 기자 = 연일 추가경정예산안(추경) 공세를 퍼붓는 야당이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폭탄에 대응할 국회 차원의 특위 구성을 제안했다. 여당은 잇단 당정 소집과 반도체 특별법 등으로 맞불을 놓고 있다.
정쟁에 몰입해온 여야가 민생을 화두로 맞붙는 것은 높아진 조기 대선 가능성을 의식한 행보로 풀이된다. 여야간 수권정당 경쟁이 본격화하면서 민생 정책·법안을 두고 이슈 선점 경쟁에 불이 붙는 양상이다.
정부와 여야 정치권은 4일 오전 11시30분부터 국정협의회 실무협의를 진행한다. 국민의힘 김상훈,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과 방기선 국무조정실장이 참여하고 국회의장실이 이를 중재한다.
지난달 9일 첫 실무회의 후 공전을 거듭하던 여야정은 한 달여 만에 다시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는다. 이날 회의에서는 추경 편성 문제를 비롯해 △반도체특별법 △전력망확충특별법 △고준위방폐장법 △해상풍력특별법 등에 관한 협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여야는 추경과 반도체특별법을 두고 첨예하게 대립해왔다. 큰 틀에서 추경 편성과 반도체특별법 제정 필요성에는 이견이 없지만 주도권 확보를 위한 물밑 샅바싸움이 치열하다.
국정협의회 재가동은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여야의 중도층 공략 의도가 바탕에 깔려있다.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를 중심으로 연일 민생 의제를 던지는 외연 확장을 꾀하며 사실상의 대선 준비에 돌입했다. 민주당 전통 지지 기반인 노동계 보다도 기업의 입장을 고려하는 유화 제스처가 잇따르고 있다.
이 대표는 미국의 관세 폭탄으로 글로벌 통상 전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을 짚으며 전날 "국회에 통상특별위원회를 만들어 초당적으로 대비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반도체특별법과 관련해선 '주 52시간 근무' 예외에 전향적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금융투자소득세 폐지와 가상 자산 과세 유예, 기본소득 정책 폐기 시사에 이은 우클릭 전환이 뚜렷하다.
아울러 4일에는 "K-방산을 적극 지원하고 육성하겠다"며 친기업적 발언도 내놨다. 이 대표는 자신의 대표 브랜드인 '25만원 전국민 지원금'을 포기하더라도 추경을 편성하자고 제안하는 등 연일 민생 이슈화에 공세적으로 나서고 있다.
'추경'과 '주 52시간 예외' 이슈를 민주당에 선점당한 국민의힘은 잇따라 당정협의를 개최하고 정책을 제안하며 맞대응에 나섰다.
국민의힘은 이날 당정협의를 갖고 주 52시간제 특례를 포함한 반도체특별법을 2월 국회에서 처리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기로 결정했다.
아울러 반도체클러스터에 대규모 전력 공급 AI 반도체 생태계 조성 등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에도 힘을 쏟기로 했다. 국가적 현안으로 우선 꼽고 있는 에너지 3법도 이날 열리는 국정협의회 등에 안건으로 올릴 방침이다.
이날 오후에는 경제분야 민생대책 점검 당정협의회를 추가로 열고 정부 차원의 새 대응책도 의제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국민의힘은 연금개혁과 관련해서도 국회 차원의 별도 특위 구성을 제안하며 야당의 참여를 촉구하고 있다.
eonki@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