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갈등 치유·분열 줄이는 포용·통합 행보 계속"(종합)

문재인 예방…文 "극단 정치상황서 통합·포용 중요" 李 격려
李 "추경 내용 고집 않겠다 …정부의 결정 적극 수용할 것"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0일 오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를 방문해 문 전 대통령을 예방하고 있다. 2025.1.3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0일 오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를 방문해 문 전 대통령을 예방하고 있다. 2025.1.3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양산, 서울=뉴스1) 구진욱 임윤지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설 연휴 마지막 날인 30일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하며 '통합과 포용의 정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을 찾아 문 전 대통령을 예방했다. 이날 예방에는 전현희·한준호·이언주·송순호 최고위원, 이재성 부산시당위원장, 이선호 울산시당위원장, 이해식 당대표비서실장, 김태선 당대표수행실장, 조승래 수석대변인이 함께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예방과 관련 브리핑을 하며 "문재인 전 대통령은 지금과 같이 극단적으로 정치 환경이 조성돼 있는 상황에서는 통합하고 포용하는 행보가 민주당의 앞길을 열어가는 데 매우 중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어 "이재명 대표와 민주당이 포용·통합 행보를 잘 보여주고 있다"고 이 대표를 격려했다고 덧붙였다.

조 수석대변인은 이 대표의 답변을 대신 전하면서 "이 대표도 '정치적인 변화가 생겼을 때도 결국은 포용하고 통합하는 행보가 이 갈등을 치유하고 분열을 줄여나가는 방안이 될 것'이라는 문 전 대통령의 발언에 크게 공감했다"며 "이 대표는 그러한 행보를 계속 이어가겠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 예방에서 여야 간 대치 상황에서 가장 중점 사안으로 꼽히는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놓고도 "추경 내용에 고집하지 않을 것이며 정부의 결정을 적극 수용할 것"이라며 자세를 낮춘 것으로 전해졌다.

조 수석대변인은 문 전 대통령의 추경 관련 얘기를 전하면서 "문 전 대통은 '가뜩이나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내란 사태가 벌어지면서 자영업자를 비롯해 서민들이 매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고 말했다"며 "'추경 편성이 필요하기에 민주당이 노력해달라'는 말씀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 대표가 이에 "우리가 제시한 안을 고집할 생각은 없고, 정부가 빨리 결정해준다면 그에 대해서 논의하고 수용할 자세가 돼 있다고 화답했다"고 조 수석대변인은 설명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이 대표와 만나 새롭게 출범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발을 놓고는 "대한민국 경제를 위해서는 1기 행정부와 소통했던 많은 인력들 또 그런 노하우와 지혜 같은 것들이 있다"며 "민주당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차원에서 적절히 활용했으면 좋겠다"고 조언했다고 조 수석대변인이 밝혔다.

아울러 조 수석대변인은 "부울경에 대한 고민을 문 전 대통령이 전했다"며 "부울경 메가시티를 민주당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해왔었는데, 지방선거 이후로 정권이 바뀌면서 실종됐다. 메가시티라는 비전을 민주당이 적극적으로 고민해주었으면 한다"고 요청했다고 했다. 이에 이 대표도 "북극항로 등 시발점이 부산이 될 것"이라며 "당의 비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고 전했다.

당 통합과 관련한 메시지를 놓고 김경수 전 경남지사를 놓고 한 발언으로 해석해도 되는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조 수석대변인은 "그 부분에 대한 구체적 적시는 없었다"고 일축했다.

kjwowen@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