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뉴스1) 조민주 기자 = 관공선, 실습선 등이 임시로 활용 중인 울산 북신항 액체부두가 공용부두로 전환을 앞두고 있다.
울산항만공사(UPA)는 2030년 세계최초 수소 터미널 구축을 위해 조성한 북신항 액체부두를 해상환적과 질소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공용부두로 한시적 전환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현재 울산항에는 해상환적이 가능한 부두가 총 11곳 지정돼 있지만 이 중 8곳은 민유 또는 전용부두로 운영되고 있어,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환적 부두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 질소작업이 수반되는 액체화학 화물 작업 시 육상을 통한 질소 공급이 필요하고, 해상환적(T/S) 전용부두를 이용하는 경우 하역 전·후 별도의 부두를 추가로 사용해 체선 및 물류비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공사는 북신항 액체부두를 해상환적이 가능한 부두로 추가 지정하기 위해 현재 울산지방해양수산청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이는 최근 중국, 일본 등 주변국의 통과화물 반입금지 규제와 파나마 운하의 재개 영향으로 해상환적 물동량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울산항에 해상환적 가능 부두를 추가로 확보해 항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함인 것으로 풀이된다.
공사 관계자는 "북신항 액체부두 외에도 울산항에 공용 액체화학 부두를 지속 확보해 항만의 공공성을 추구하고, 국내 액체화학 1위 항만의 위상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울산 남구 황성동 일원에 조성되고 있는 북신항 액체부두는 5만톤급 1선석(안벽 300m), 부지 15만9000㎡ 규모의 액체화학 전용부두다.
안벽과 에이프런(하역작업을 위한 공간) 1만2600㎡가 준공됐고 배후부지는 현재 매립 공사 중이다.
minjuma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