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뉴스1) 김지혜 기자 = 울산시가 6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울산광역시 인구정책위원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위원장인 김두겸 울산시장을 비롯한 20여 명의 위원들이 참석해 울산시 인구정책 종합계획(2022년~2026년)에 따른 ‘2025년 울산시 인구정책 시행계획(안)’을 심의하고 인구정책 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다.
종합계획 내용은 ‘모든 세대가 행복하고 살고 싶은 도시 울산’을 비전으로 △미래성장도시 기반 강화 △정주여건 개선 △생애 전반 맞춤형 지원강화 △인구변화 선제 대응의 4개 분야로 구성됐다.
총 사업비는 1조 1031억 원이 투입된다.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과 도심융합특구 조성, 울산형 광역비자 시행 등으로 미래성장 도시 기반을 강화하고, 트램 건설 추진, 층간소음 방지 매트 지원 등 수요자 중심의 주거 지원을 추진해 정주여건을 개선한다.
또 (외)조부모 손주 돌봄 수당 30만 원 지원, 달빛어린이집 추가 지정 운영, 아이문화패스카드 지급 등으로 생애 전반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교육발전 특구, 노인버스 무료 사업 등을 추진해 인구변화에 선제 대응할 계획이다.
울산시 총인구는 올해 1월 기준 112만명(내국인 109만명, 외국인 2만7천여명)으로 지난 2023년부터 소폭 증가와 감소를 반복 중이며, 외국인 유입이 들며 감소 폭도 둔화되는 중이다.
또 최근 통계청이 공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의 출생아 수는 5300명으로 전년 대비 200명(4%) 증가했다. 합계출산율은 0.86명으로 특·광역시 중 1위를 기록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지난해 출생아 수 증가와 합계출산율 증가는 적극적인 투자유치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인구 유입-안정적 생활-결혼과 출산이라는 선순환 고리로 이어진 결과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joojio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