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뉴스1) 송용환 기자 = 경기 성남시가 최근 '복지재단 설립'에 관한 연구용역에서 그 타당성이 확보됨 따라 올 하반기 출범을 목표로 관련 절차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17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경기연구원에 의뢰해 최근 7개월간 진행한 연구용역 결과 '복지재단 설립 타당성 있음'이란 종합 결론을 받았다.
경기연구원은 해당 용역에서 설립 계획의 적정성, 기대효과 등 11개 항목을 타당성 '높음' '보통' '낮음' 등 3단계로 구분해 평가했다.
그 중 '높음' 평가가 나온 항목은 적정사업 주체 여부, 조직 및 인력 수요, 출자·출연 계획의 적정성, 예산안과 기대 성과의 정합성, 지역경제 파급효과, 지방재정 효과 등 6개다.
나머지 공공 수행 여부, 공무원 정원감축 계획 등 5개 평가 항목은 '보통' 수준으로 평가됐다.
지역경제 파급효과 항목에서 생산유발효과는 5년간 210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140억 원, 고용유발효과는 200명으로 각각 예측됐다.
타당성 검토 과정에서 19세 이상 시민 700명을 대상으로 25개 항목을 묻는 모바일 설문조사(1월 16일~2월 12일)도 진행했다.
복지재단 설립 필요성에 대해 조사 응답자 700명 중 429명(61.3%)이 '긍정', 211명(30.1%)이 '보통'이라고 답했고, 부정응답은 60명(8.6%)이었다.
복지재단 설립으로 인한 기대효과(복수 응답)에 관한 질문엔 '복지사업 확대와 품질 향상' 281명(40.1%), '복지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 276명(39.4%), '복지 사각지대 해소' 269명(38.4%) 등으로 답했다.
시는 후속 행정절차인 성남시 출자·출연기관 운영심의위원회 심의, 경기도 출자·출연기관 운영심의위 심의 등을 밟아 시 복지재단 출범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복지재단은 민관을 잇는 중심 기관으로서 지역 특성에 맞는 사회복지 정책을 수립하고, 지역주민에게 통합형·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시의 복지 체계를 더 강화하게 될 것"이라며 "남은 절차를 차질 없이 추진하고, 시의회와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재단이 성공적으로 출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전국에서 복지재단을 운영 중인 기초자치단체는 41곳이다. 경기도내의 경우 김포시, 시흥시, 평택시, 가평군, 화성시, 남양주시 등 6곳에 복지재단이 있다.
sy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