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민주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가 제조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올해 처음 관련 예산을 편성하고 본격적으로 지원에 나선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첫 가동한 '비자추천권'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수요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고용추천' 사업도 펼친다. 연간 1000명의 외국 전문인력을 중소기업에 취업시키는 게 목표다.
10일 관가에 따르면 중기부는 올해 산학협력 인력양성 사업 예산 내 '중소기업 외국전문인력 활용 지원' 예산을 신규 편성했다. 예산 규모는 30억 원이다.
사업은 지역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관계부처(교육부, 법무부 등)와 협업하는 형태로 추진될 예정이다.
중소기업과 외국인 유학생을 매칭해 그들이 비자를 발급받는 과정까지를 지원해 '유학생 취업 원스톱 지원체계'를 만든다는 목표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중소기업과 외국인 유학생 간 구인·구직 미스매치 현상이 만연하지만 이를 중재할 기관이나 인력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중기부가 외국인 유학생에 맞춤 교육을 실시해 중소기업 맞춤 인력으로 양성하고 이들을 다시 중소기업에 연계해 주겠다는 복안이다.
세부 사업은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수요조사 진행 △K-수출전사(중소기업 유학생 연계) 프로그램 △고용추천 지원 등이다.
먼저 연계 프로그램은 유학생이 이력서를 작성하거나 면접을 대비하는 등의 과정을 돕는 형태다. 이들을 대상으로 취업 교육과 컨설팅을 실시하고 기업현장 탐방,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을 실시한다.
DB 구축은 '외국인 유학생 매칭플랫폼'(가칭)을 만들어 인공지능(AI)이 중소기업과 구직자를 매칭할 수 있도록 한다.
수요조사는 지역주력산업 등 주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활용여부나 채용희망, 인원, 급여 등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지난해 처음 시작한 비자추천권 제도도 더 많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중기부는 지난해 11월 외국인 유학생 유치 걸림돌로 작용했던 비자 발급 문턱을 낮추기 위해 비자추천권을 가동했다. 외국전문인력(E-7-1) 고용추천과 △숙련기능인력(E-7-4) 전환추천 제도를 통해 중소기업에 취업한 외국인 유학생이 비자 발급을 지원(추천)한다.
이처럼 중기부가 외국전문인력의 중소기업 취업을 지원하고 나선 배경은 제조기업들이 겪는 인력난 때문이다.
중기부에 따르면 최근 청년의 중소기업 취업 기피 등에 따라 제조 분야 등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심화하고 있다. 지난해 중소기업 인력 부족률은 2.8%, 제조 중소기업의 경우 3.3%다. 이 때문에 중소기업의 10곳 중 9곳은 인력난 때문에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다(중소기업중앙회).
올해 지원 목표는 1000명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지난해 비자추천권을 시작했는데 제반 사업이 없다보니 실제 (신청) 들어온 것은 아주 적은 수준"이라며 "올해 신규 (지원) 사업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중소기업 취업을 지원하면 (인력난 해소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 열심히 해보려 한다"고 말했다.
minju@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