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으로 국제 통상 질서가 흔들리는 가운데, 한국과 베트남이 산업, 에너지, 자유무역협정(FTA) 분야에서 협력 강화에 나섰다. 불확실성이 커지는 대외 여건 속에서 안정적인 경제 협력 파트너십을 구축하려는 취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안덕근 장관이 14일(현지시간) 베트남 산업무역부를 방문해 응우옌 홍 지엔 장관과 함께 '제14차 한-베 산업공동위원회'와 '제8차 한-베 FTA공동위원회'를 연이어 개최하고 교역 확대 및 주요 협력 분야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산업공동위는 양국이 지난 2011년 체결한 양해각서(MOU)와 같은 해 열린 1차 회의 결과에 따라 구성된 장관급 협의체다. 이날 회의에서는 2022년 6월 하노이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2030년까지 교역액 1500억달러 달성' 목표를 실행하기 위한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양국은 원전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협력을 포함한 청정에너지 분야에서 협력 수위를 높이기로 했고, 유통 분야 국장급 정책회의를 다시 열기로 했다. 또 섬유와 의류 산업 분야에서의 투자 확대에도 뜻을 모았다.
FTA공동위는 2015년 발효된 한-베트남 FTA에 따라 구성된 이행기구다. 이날 회의에서는 FTA를 개정해 수출 기업의 비용을 줄이고 통관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전기안전 인증기관 확대, 농축산물 수출입 품목 확장, 양국 수입규제 관련 현황 점검도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이를 통해 양국 기업들이 FTA를 보다 활발히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공동위 이후에는 정부 간 및 기관 간 MOU 3건이 체결됐다. 양국 수석대표는 2030년까지 교역액 1500억달러 달성을 위한 이행방안 업무 협약에 서명했고, 원전 담당 국장 간 '원전 협력 MOU'도 체결했다. 한국전력은 베트남 국영 송전회사와 함께 '전력망 및 에너지 신산업 분야 MOU'를 맺었다. 이를 통해 무역, 원전, 전력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 기반이 마련됐다.
안 장관은 이날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기업인들과도 만나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등 통상 현안에 대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ac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