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 =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2일 "싸움에서 이긴다고 생각하면, 상대의 목을 치려면 내 팔을 내줄 각오가 돼 있어야 되는 것이지, '나는 상처 하나도 안 입고 남의 목을 자를 것이야'라는 이야기는 불가능한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2일 대전 카이스트에서 개최한 '미래세대와의 인공지능(AI) 토크콘서트'에서 글로벌 시장 접근법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대한상의와 카이스트가 공동으로 개최한 이번 행사는 카이스트 출신 AI 분야 창업자와 청년 연구자들, 산업계·학계 리더가 한자리에 모여 AI 기술의 현재와 미래, AI가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을 논의하는 소통의 장으로 마련됐다.
토크콘서트는 패널과 학생들의 질문에 최 회장이 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최 회장은 스타트업이 대기업과의 사업을 하는 방법을 묻는 말에 "대기업이 문제를 삼는 것은 신뢰"라며 "결국 문제를 돌파하는 것은 독점력으로 이 소프트웨어가 얼마큼 독보적이냐는 것"이라고 했다.
제조 경쟁력 강화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최 회장은 "경쟁자인 중국은 AI도 제조업도 저희를 지금 앞서는 형태로 가고 있다"며 "시간이 흐르면 그들의 스피드가 더 빠르기 때문에 우리가 쫓아가지 못하고 죽을 확률이 상당히 높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장기적인 전략을 만들기 위해 저희가 필요한 것은 풀링(끌어 당기다)이 필요하다"면서 "제조의 경쟁력을 급격히 올리지 않으면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SK의 로봇 산업 계획에 대해선 "저희가 직접 로봇을 개발, 생산하는 것은 하려고 하지는 않는다"면서도 "AI 전반의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있다"고 전했다. SK 그룹의 AI 관련 계획을 묻는 말에는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칩 설루션을 만들어낼 것이고 센터를 싸게 지을 것이며 우리 나름대로 대규모언어모델(LLM) 형태의 설루션은 가져가야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스타트업과의 협업 여부에 대해선 "필요한 스타트업이 있어서 제일 좋다고 생각하면 저희는 살 생각이 있고 저희 플랫폼에 설루션을 올려놓고 서로 도움을 보는 것, 벤처캐피털로 필요한 곳에 투자하고 움직이는 것이 기본적인 협력"이라고 답했다.
현재 AI와 관련된 가장 큰 고민이 무엇인지에 대해선 "AI, AI 데이터센터가 과연 인간의 애플리케이션을 제대로 만들어서 돈을 지불할 만큼의 효용성을 가질 수 있겠느냐는 질문"이라며 "그 타이밍이 언제쯤 오느냐, 컴퓨팅파워를 늘려야 될 이유가 뭐냐는 것"이라고 답했다.
최 회장은 학생들에게 "꿈을 가지고 논리로 만들어 행동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 회장은 "세상은 행동했다고 답이 절대 척척 나오지 않는다"며 "계속 전략을 수정하고 바꿔나가야 창업의 실패를 적게 하고 인생을 낭비하지 않게 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또 "AI 같은 툴을 개발해서 사회에 빛이 되고 많은 문제를 풀 수 있는 요람이 되길 기대하면서 여러분이 그런 역할을 할 수 있게 지원이나 뒷받침을 조금 더 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패널 토론에서 안재만 베슬AI 대표는 "AI가 기업의 전략·기획·제품 개발 등 전 분야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며 "수많은 AI 모델과 에이전트를 통합 운영하는 'AI 오케스트레이션'이 미래기업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AI와 AI가 서로 협업할 수 있는 가교를 놔주는 전략을 기업들이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했다.
이찬 플로틱 대표는 "만약 인간이 만든 AI가 인간에게 나를 왜 만들었는지 묻는다면 우리는 어떤 철학적 방향으로 그 물음에 답해야 할지 고민을 시작해야 할 시점"이라고 전했다.
김종규 식스티헤르츠 대표는 "기후위기나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AI 기술이 큰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동시에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도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현섭 플랜바이테크놀로지스 대표는 "아직 산업에서 접할 수 있는 AI는 범용 AI가 대부분이지만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서는 결국 산업별 특화 AI가 핵심인 만큼 '버티컬 AI' 중심의 재편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goodday@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