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박주평 기자 = LG전자(066570)가 인공지능(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 베어로보틱스의 경영권을 확보해 본격적으로 로봇 사업 확장에 나선다.
LG전자는 지난 22일 이사회를 열고 베어로보틱스의 30% 지분을 추가 인수하는 콜옵션을 행사하기로 의결했다고 24일 밝혔다. LG전자는 지분 추가 확보와 사업양도에 1억8000만 달러(약 2600억 원)를 투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어로보틱스는 2017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설립된 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으로 △로봇 소프트웨어(SW) 플랫폼 구축 △다수 로봇을 최적화한 경로로 움직이는 군집제어 기술 △클라우드 관제 설루션 등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LG전자는 지난해 3월 6000만 달러를 투자해 베어로보틱스 지분 21%를 취득하고, 최대 30% 지분을 추가 인수할 수 있는 콜옵션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콜옵션 행사가 완료되면 베어로보틱스 지분의 51%를 보유해 경영권을 확보하며 자회사로 편입하게 된다.
이를 통해 LG전자는 '클로이 로봇' 중심의 상업용 로봇 사업 일체를 베어로보틱스와 통합한다. 하정우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베어로보틱스 주요 경영진은 유임해 기존 사업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LG전자에서도 이사회 멤버로 참여한다.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를 통해 상업용 로봇 시장을 공략하고 가정용∙산업용 로봇 사업도 강화한다.
가정용 로봇은 업계 최고 생활가전 기술력을 갖춘 HS사업본부에서 총괄한다. 가정용 로봇이 공감지능으로 가족 구성원의 상태를 인식하고, 이에 맞춰 가전제품과 서비스를 연결하는 총체적 경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둔다.
연내 출시 예정인 이동형 AI홈 허브(프로젝트명: Q9)가 대표적이다. Q9은 두 다리에 달린 바퀴와 자율 주행 기술, 음성∙음향∙이미지 인식 등을 접목한 멀티모달(Multi Modal) 센싱을 통해 집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사용자와 소통하고 집안의 가전과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연결∙제어한다. 카펫이나 바닥의 장애물을 자연스럽게 넘고, 디스플레이로 감정표현도 가능하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음성인식·음성합성 기술도 탑재해 다양한 억양, 발음도 인식한다. 지난해 말 덴마크 오덴세에서 열린 세계 최대규모 로봇 콘퍼런스 '로스콘 2024'에서는 Q9 개발자를 위해 SW 개발 키트를 공개하며 개방형 생태계를 조성하는데도 속도를 내고 있다.
생산기술원의 스마트팩토리 사업 주축인 산업용 로봇은 AI∙DX 등과 접목해 본 사업의 조 단위 매출 성장을 이끌고 있다. '자율주행 수직다관절로봇'은 카메라∙레이더∙라이다 등 센서로 주변 환경을 인식해 효과적으로 움직이며 자재를 공급하는 동시에 로봇 팔을 활용한 조립, 불량검사 등을 할 수 있다.
LG전자 로봇사업의 방향성과 관련해 조주완 최고경영자(CEO)는 CES 2025 기자간담회에서 "로봇 시장이 5년 내 명확한 미래가 될 것"이라며 "지분 투자나 M&A 가능성을 열어두고 중요한 플레이어로서 준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 경영권 확보를 통해 LG전자 로봇 사업 전반에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베어로보틱스 SW를 기반으로 상업용∙산업용∙가정용 로봇을 아우르는 통합 설루션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각기 다른 로봇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들에게 균질하고 상향 평준화된 설루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통합 플랫폼은 다양한 로봇에 공통 적용해 개발 기간을 줄일 수도 있다.
LG전자가 보유한 제조 역량∙공급망 관리(SCM) 노하우는 로봇 사업의 구조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B2B(기업간거래) 사업을 통해 구축한 글로벌 판매 네트워크는 제품 판로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업용 로봇을 호텔TV∙사이니지∙IT 기기 등 LG전자의 B2B 설루션과 결합해 기업고객이 필요로 하는 제품을 한꺼번에 공급하는 '턴키 수주' 방식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LG전자 CSO(최고전략책임자) 이삼수 부사장은 "이번 추가 투자는 '명확한 미래'인 로봇을 신성장 동력으로 키우겠다는 LG전자의 확고한 의지에 따른 것"이라며 "상업용∙산업용∙가정용 등 로봇 사업 전방위 분야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쟁사인 삼성전자(005930)도 지난해 12월 로봇 전문기업인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추가 인수해 자회사로 편입하며 로봇 사업을 키우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2족 보행 로봇 기술을 접목해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대표이사 직속의 미래로봇추진단도 신설했다
jupy@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