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형진 기자 = 한국식자재유통협회가 '식자재유통산업진흥법안' 발의와 관련해 "식자재 유통의 '고속도로' 구축과 K-푸드 시대를 열어나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환영의 입장을 냈다.
협회는 25일 입장문을 통해 "열악한 국내 식자재 유통산업의 진흥 및 도약을 위해 지속해서 추진해 온 법안이 김선교 국민의힘 의원의 대표발의로 국회에 제출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협회에 따르면 국내 식자재 유통시장은 2023년 기준 약 62조 원 규모로, 외식산업의 성장과 함께 매년 약 5% 이상 성장해 왔으며, 3만여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하는 대한민국 식품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산업이다.
그러나 △유통단계가 지나치게 많고 복잡해지면서 식자재 가격 상승 △산업 특성에 맞는 위생 및 관리 기준 부족으로 품질·위생 관리 부족 △생산자와 유통업체 간의 협력 및 외식·급식업체와 유통업체 간의 소통 및 협력 수준도 제한적 △디지털 인프라 부족 등이 산업의 문제로 제기되던 상황이었다.
협회는 "법안이 통과되면 유통 구조 혁신으로 식자재 원가 절감과 가격 안정화가 기대된다"며 "10단계 이상의 복잡한 유통과정을 3~5단계로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외식·급식 업체에 안정적인 식자재 공급 서비스가 가능해진다"며 "식자재 유통의 안전관리 체계 구축으로 국민이 보다 위생적이고 안전한 먹거리를 공급받을 수 있고, 식품위생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국내 식품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K-푸드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촉진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산지·유통·외식업 간 협력 모델을 구축해 상호 성장의 기반을 마련하고, 농어업과 식품산업이 함께 발전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고 했다.
협회는 "식자재 유통산업의 발전은 국민의 먹거리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라며 "정부, 국회, 업계, 학계가 협력하여 법적·제도적 기반을 확립하고, 체계적인 지원과 혁신적인 정책을 지속해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ji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