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근욱 박동해 기자 = 우리금융그룹은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어려움을 겪는 수출입기업과 협력사를 위해 총 10조2000억 원 규모의 금융 지원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전날 금융당국과 5대 금융지주 회장단이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한 후 각 금융사가 순차적으로 지원책을 내놓는 모습이다. 금융위원회는 이날도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5대 금융지주의 재무담당 임원들을 소집해 구체적인 금융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우리금융이 발표한 이번 지원안은 현재 가동 중인 프로그램(2조9000억 원)과 곧 시행될 신규 프로그램(7조3000억 원)으로 구성된다.
우선 현재 운영 중인 금융지원 중 2조3000억 원은 수출기업과 협력기업 대상 금융지원에 투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신용보증기금 연계 수출기업 대상 우대 보증서 지원, 반도체·자동차 등 피해 산업군 협력사를 위한 상생대출 확대 등이 포함된다.
나머지 금액은 △무역보험공사 보증서 담보 대출 지원(2700억 원) △고환율·경기침체 취약 소상공인 대상 특화대출(2000억 원) △관세 영향 소상공인 특화지원(700억 원)에 투입된다.
곧 시행될 신규 금융지원은 7조3000억 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6조7000억 원은 상호관세 피해 기업 대상 금리 지원에 투입된다. 우리금융은 특히 5%를 초과하는 고금리 대출에 대해 금리를 인하하는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중소기업 대상 특별 보증서 대출 5000억 원 △상호관세 피해 중소기업의 경영안정을 위한 특별지원 1000억 원 등을 투입한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전날 김병환 위원장 주재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연 데 이어, 이날은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실무진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기업들의 자금 수요를 면밀히 점검하고, 업종별·기업별 맞춤 지원 방식을 구체화하는 논의가 이뤄졌다.
금융당국은 은행을 중심으로 전국 기업전담역(RM)들이 수출입 기업에 대한 현장점검과 자금수요 등 구체적인 애로사항을 파악해달라고 주문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하나금융은 지난 3일,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6조3000억 원 규모의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KB금융도 전날 8조 원 규모의 금융지원 계획을 내놨다.
ukgeu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