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김유승 기자 = 정부가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에 대응해 우리 수출기업에 9조 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추가 공급하고, 관세청 내 '품목분류 상담센터'를 신설하는 등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따른 거시경제 영향과 수출입은행의 정책금융 운용 전략, 관세행정 대응 전략, 해외수주 확대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수출입은행을 통해 연 9조 원 규모의 수출금융을 추가 지원하고, 위기 기업을 위한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과 대체 시장 개척을 위한 '수출 다변화 프로그램(1조 원)', '공급망 안정화 펀드(1조 원)'를 상반기 중 조성할 계획이다.
또 미국의 복잡한 품목별 관세 구조로 인해 수출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을 돕기 위해 관세청 내 '미국 관세 품목분류 상담센터'를 개설하고, 수출품 품목분류에 대한 사전심사 '패스트트랙' 제도도 도입할 방침이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미국 상호관세의 거시경제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하고 과감한 비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이를 위해 기재부 1차관 주재로 '통상현안 대응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해 관세 피해 분야에 대한 점검과 중장기적 대응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올해 1분기까지 양호한 실적을 보인 해외수주가 지속될 수 있도록 수주시장 다변화와 주요 프로젝트 관리를 강화하고, 글로벌 사우스 대상 전략적 협력도 확대하기로 했다. 올해 목표인 연간 500억 달러 수주 달성을 위해 경제협력과 연계한 수주 촉진 및 지역별 맞춤형 전략을 추진할 방침이다.
ky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