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김승준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 학계, 연구계 전문가들과 '2026년 산업기술 연구·개발(R&D) 투자안'을 검토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작업에 착수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민간 전문가인 프로그램 관리자(PD)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 전문기관은 현장의 수요를 반영해 신규사업을 기획해 왔다.
현재까지 기획된 사업은 124개로 총사업비 규모는 6조 7000억 원이며 이 중 2026년 투자 수요는 약 8300억 원이다.
산업부는 우선 R&D 전략기획단을 중심으로 인공지능(AI)·양자, 모빌리티, 반도체 등 11개 분과위원회를 구성해 전략적 중요성, 시장 잠재력, 사업화 가능성 등에 대한 1차 평가를 완료했다.
이를 바탕으로 10일에는 9개 출연연구기관과 전문생산기술연구원 원장 간담회를 개최하고 투자 우선순위에 대한 검토를 진행한다.
이어 15일에는 한국공학한림원 8개 분과위원회 위원장, 18일에는 주요 공과대학장과 릴레이 검토 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신규사업 검토와 함께 기업과 연구기관 간 협업 강화와 성과 창출 확대 방안도 논의된다.
발제를 통해 △성과 창출보다 과제 수주에 집중하게 하는 연구 성과 중심 제도(PBS) 개선 △산학연 협력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강화 △산업 특성을 반영한 협력 모델 도입 △기업의 중장기 전략 기반의 산학연 협력 등이 제안됐다.
산업부는 앞으로 산학연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기업 R&D 투자 확대와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오승철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현장과 소통을 더욱 강화해 적재적소에 투자하고 기업-대학-연구기관이 한 몸처럼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seungjun24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