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뉴스1) 김유승 임용우 기자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9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10조 원 규모의 필수 추가경정예산(추경)안과 관련해 "실무적인 작업을 해 다음 주 최대한 빨리 제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충남 예산군의 한 과수원을 찾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부처별 소요 안을 반영해 다음 주 초 추경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통상 대응 및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에 3조~4조 원, 서민·소상공인 지원에 3조~4조 원 투입하기 위해 세부 사항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 부총리는 울산, 경북, 경남 지역의 산불 피해와 관련해 "오는 15일까지 피해 조사를 완료하고 주택·기반 시설 복구, 피해민 지원 등을 담은 피해 복구계획을 이달 내로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설비·시설 복구, 긴급 생활안정자금 지원 등에 4000억 원 이상 자금을 투입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함께 충남 예산군의 한 과수원에서 사과 개화기 생육 상황과 스마트 과수원 조성 현황을 점검했다.
스마트 과수원이란 우박 피해 방지시설, 햇빛 차단망, 방조망, 방풍망 등 재해 예방시설과 무인 급수시설 등이 설치된 시설을 말한다. 기후 변화에도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정부는 냉해, 병해충 등 이상기후 피해로 인한 과수 생산·수급 차질을 예방하기 위해 지난 4월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을 발표했다. 올해는 사과, 배, 복숭아 등 주요 과수의 생육이 전반적으로 순조로운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최근 산불 피해를 본 경북, 울산 지역은 사과, 자두 등의 주산지다. 정부는 피해 조사와 개화기 상황 점검 등을 통해 과수 수급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 분석할 계획이다.
최 부총리는 "과일은 체감 물가와 밀접한 품목인 만큼 개화기 생육 관리를 철저히 해달라"며 "산불 피해 농가의 조속한 영농 재개와 일상 회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송 장관은 "산불로 인한 과수의 직접 피해 면적은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며 "철저한 생육 관리를 통해 농산물 수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겠다"고 설명했다.
ky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