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으로 흘러간 대출 '2682조원'…절반은 가계대출

GDP 105% 수준…금리 인하에 부동산 쏠림 자극 유의

본문 이미지 -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발효를 하루 앞둔 23일 서울 송파구 공인중개사 사무소 안내판에 정부가 발표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이 붙어있다. (자료사진) /뉴스1 ⓒ News1 허경 기자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발효를 하루 앞둔 23일 서울 송파구 공인중개사 사무소 안내판에 정부가 발표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이 붙어있다. (자료사진) /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국내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이 지난해 말 2682조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약 절반은 가계대출로 확인됐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금융 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부동산금융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4121조 6000억 원으로 전년(3937조 원) 대비 4.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상 처음으로 4000조 원을 돌파했다.

이 중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은 1년 전보다 4.8% 늘어난 2681조6000억 원으로 추산됐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105.2% 규모에 해당한다.

부동산금융 익스포저는 국내 부동산 부문의 충격이 금융기관과 금융투자자 등 경제 주체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손실 규모를 뜻한다.

대출 외 부동산 관련 보증(164조1000억 원), 금융투자상품(375조9000억 원)으로 구성됐다.

특히 부동산 관련 대출에서 가계대출 비중이 48.8%에 달했다. 잔액을 보면 1년 전보다 3.6% 증가한 1309조5000억 원으로, 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 영향으로 늘어났다.

가계대출의 부동산 노출 증대는 정책금융의 역할도 컸던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관련 가계대출 가운데 정책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말 17.0%에서 지난해 말 23.7%로 커졌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은 구조조정 등 결과로 전년 대비 11.8% 감소한 187조3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한은은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 증가세가 둔화하는 추세"라면서도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 부동산 대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등 일부 부문에선 잠재 위험이 여전히 누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 여건 완화가 부동산 등 위험 자산 선호를 자극하고 자산 매입을 위한 대출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부동산 금융 쏠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며 "부동산 금융이 과도하게 확대되면 경기 부진 시 금융 불안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커지고 생산성 낮은 부문으로 자금이 집중돼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icef08@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