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국내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이 지난해 말 2682조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약 절반은 가계대출로 확인됐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금융 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부동산금융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4121조 6000억 원으로 전년(3937조 원) 대비 4.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상 처음으로 4000조 원을 돌파했다.
이 중 부동산 관련 대출 잔액은 1년 전보다 4.8% 늘어난 2681조6000억 원으로 추산됐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105.2% 규모에 해당한다.
부동산금융 익스포저는 국내 부동산 부문의 충격이 금융기관과 금융투자자 등 경제 주체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손실 규모를 뜻한다.
대출 외 부동산 관련 보증(164조1000억 원), 금융투자상품(375조9000억 원)으로 구성됐다.
특히 부동산 관련 대출에서 가계대출 비중이 48.8%에 달했다. 잔액을 보면 1년 전보다 3.6% 증가한 1309조5000억 원으로, 주로 주택담보대출 증가 영향으로 늘어났다.
가계대출의 부동산 노출 증대는 정책금융의 역할도 컸던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관련 가계대출 가운데 정책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말 17.0%에서 지난해 말 23.7%로 커졌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은 구조조정 등 결과로 전년 대비 11.8% 감소한 187조3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한은은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 증가세가 둔화하는 추세"라면서도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 부동산 대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등 일부 부문에선 잠재 위험이 여전히 누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 여건 완화가 부동산 등 위험 자산 선호를 자극하고 자산 매입을 위한 대출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부동산 금융 쏠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며 "부동산 금융이 과도하게 확대되면 경기 부진 시 금융 불안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커지고 생산성 낮은 부문으로 자금이 집중돼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icef08@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