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블랙리스트' 작성 인정…"사회적대화 도출안 성실 이행"(종합)

국회 쿠팡·대유위니아 청문회…택배기사 노동조건 개선 약속
대유위니아 임금 체불 970억 남아…정부 대지급금도 떼인 상태

홍용준 쿠팡로지스틱스 대표가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쿠팡 택배노동자 근로 조건 개선·대유위니아그룹 임금체불 관련 청문회에서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 요청으로 로켓프레시백을 펼쳐보고 있다. 2025.1.21/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홍용준 쿠팡로지스틱스 대표가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쿠팡 택배노동자 근로 조건 개선·대유위니아그룹 임금체불 관련 청문회에서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 요청으로 로켓프레시백을 펼쳐보고 있다. 2025.1.21/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쿠팡이 국회에서 개최된 청문회에서 택배·물류노동자의 노동조건 개선 등을 약속하며 사회적대화에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사망한 쿠팡 노동자 유족에 대한 대면 사과와 '취업제한 블랙리스트' 관련 제보자 및 취재진에 대한 고소·고발 취하도 약속했다. 이날 쿠팡은 처음으로 블랙리스트를 작성하고 관리해 온 점을 인정했다.

이날 청문회에서 함께 진행된 대유위니아그룹의 임금체불 문제와 관련해선, 2022년부터 총 1196억 원의 임금체불 변제 상황이 진전되고 있지 않은 데 대한 여야의 질타가 잇따랐다.

2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쿠팡 택배 노동자 심야노동 등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청문회·대유위니아그룹 임금체불 관련 청문회'에서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쿠팡은 1년 365일 연속적으로 고정적인 야간 노동 문제가 지적돼 왔다"며 "그 문제와 관련, 심야 물류 연속적 심야 노동 해법을 위한 사회적 대화 테이블을 만들면 이에 동참하고 합의 내용들을 성실하게 이행하겠다 약속한 적이 있나. 합의안이 도출되면 전면적으로 개선해야 하는데 동의하는가"라고 질의했다.

이에 강한승 쿠팡 대표는 "사회적 대화에 참여하고, 이를 통해 도출되는 (노동 문제) 결론에 대해 성실히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쿠팡은 노동조합 활동을 이유로 배송기사의 캠프 입차를 제한시킨 행위에도 사과와 보상을 약속했다. 쿠팡CLS는 노동조합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지난 2023년부터 최근까지 송정헌 쿠팡노조 일산지회장 등의 쿠팡 캠프 출입을 제한하는 '입차제한'으로 사실상의 해고를 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홍용준 대표는 "입차제한 때문에 장기간 피해를 본 부분에 대해서는 굉장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 "현실적으로 피해를 본 부분에 대해서 보상을 지원하고, 캠프 내 노조활동도 보장하겠다"라고 밝혔다.

배송기사들에게 분류노동을 강요하는 '상차분류' 문제에 대해서도 "영업점과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청문회에는 2020년 쿠팡 칠곡캠프에서 사망한 장덕준씨의 어머니가 참석해 쿠팡 경영진으로부터 대면 사과를 받고 싶다는 요청을 전했다. 이에 강한승 대표 등 쿠팡 경영진 3명은 유족을 만나 사과하겠다고 답했다.

이른바 '취업제한 블랙리스트' 의혹과 관련한 질의도 이어졌다. 김태선 민주당 의원의 관련 질의에 강 대표는 "자료와 관련해 과도한 측면이 있었다고 생각하고 그 부분에 대해서는 유감스럽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홍 대표는 "일부 광범위하게 (사용)됐던 부분에 대해서는 죄송하다"면서도 해당 리스트가 쿠팡에서 절도 등 사건 연루자를 대상으로 작성됐다고 주장했다.

쿠팡 경영진은 블랙리스트 제보자와 의혹을 보도한 취재진에 대한 고소·고발도 즉각 취하하겠다고 밝혔다. 쿠팡의 블랙리스트는 재취업을 제한하려는 명단을 작성한 문건으로, 2017년부터 물류센터에서 일해온 근로자 1만6450명의 명단이 담겨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본문 이미지 - 박은진 대유에이택 부사장이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쿠팡 택배노동자 근로 조건 개선·대유위니아그룹 임금체불 관련 청문회에 출석,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은 박현철 위니아전자 전 대표. 2025.1.21/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박은진 대유에이택 부사장이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쿠팡 택배노동자 근로 조건 개선·대유위니아그룹 임금체불 관련 청문회에 출석,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은 박현철 위니아전자 전 대표. 2025.1.21/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임원은 매달 월급 받아가는데"…대유위니아, 청문회서 1196억 임금체불 '집중 질타'

대유위니아 임금체불 청문회에서는 1196억원을 체불한 대유위니아그룹이 여전히 970억원의 체불액을 청산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룹은 골프장과 빌딩을 팔아 체불임금을 갚겠다던 약속도 지키지 않아 청산 의지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대유위니아는 2022년 4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위니아전자, 위니아, 위니아전자매뉴팩쳐링 등 3개 계열사에서 2087명에게 1196억 6200만 원의 임금을 체불했다. 지금까지 대유위니아가 청산한 체불액은 226억 3400만 원으로 전체 체불임금의 18.9%에 그친다. 지난해 하반기에만 117억 7100만 원의 임금을 추가로 체불한 사실도 이날 처음 확인됐다.

특히 정부가 대유위니아를 대신해 지급한 대지급금 94억 3700만 원도 사실상 떼인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까지 고용노동부의 대지급금 환수 실적은 6400만 원(회수율 0.6%)에 불과했다. 고용부는 "위니아전자 등 가전 계열사의 회생절차 개시로 가압류 토지에 대한 강제집행이 불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대유위니아에 체불임금 청산, 대지급금 변제 의지가 있기나 한 것인지 매우 우려스럽다"면서 "정부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강구해 대유위니아 임금체불 사태를 종식할 특단의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구속 중인 박영우 회장 대신 박 회장의 차녀인 박은진 대유에이텍 부사장은 이날 증인으로 나왔지만 책임있는 답변을 내놓지 못해 도마 위에 올랐다. 김주영 민주당 의원은 "박 부사장의 연봉 2억 7000만 원을 체불임금 갚는 데 쓸 생각이 있는가"라고 물었으나 박 부사장은 "제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다"고 답했다.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도 "증인의 주식을 팔아서라도 임금체불 문제 청산을 위해 노력할 의향이 있는가"라고 수차례 물었지만 박 부사장은 "임금체불로 고통받은 분들께 죄송하다", "제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다"라고만 답했다.

같은 당 김소희 의원은 "처벌 수위를 강화할 수밖에 없다"면서 “"양형 기준이나 처벌 수위를 강화해 어떻게 처벌할지를 국회에서 논의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freshness410@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