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서울=뉴스1) 나혜윤 조현기 박재하 기자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9일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조선업 협력에 대해 굉장히 큰 관심을 보이고 있어서 조선 분야가 중요한 협상카드가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서일준 국민의힘 의원의 "미국 관세전쟁에 대한 협상 카드가 어떤 게 있느냐"는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안 장관은 조선산업에 대한 미국 측의 관심에 대해 "미국의 조선산업 역량이 2차 대전 이후에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우리나라가 현재 갖추고 있는 조선 기술과 제조 역량에 대해서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며 "그동안 안보 측면에서 우리가 돈독한 동맹관계를 강화시켜 놓은 부분들이 굉장히 큰 신뢰를 주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이어 "미국이 25%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사실상 파기된 것 아니냐. 한미 FTA를 계속 유지할 것인가, 파기 선언을 할 것인가"라는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는 "한미 FTA는 유지를 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안 장관은 "우리나라는 FTA 때문에 (관세) 베이스가 '제로(0)'여서 상호관세 적용시 25% 관세만 내고 (미국으로) 들어가지만, 우리하고 경쟁하는 일본하고 EU 같은 경우는 2.5% 관세에 25%가 추가 된다. 그래서 27.5%를 내고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이날 현안보고에선 "미국의 관세 조치 등으로 인해 자동차 등 대미 주력 수출 품목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이 전망된다"며 "베트남 등 고율 관세가 부과된 국가의 대미 수출이 감소하면서 해당 국가들로 향하던 우리 중간재 수출이 감소하고 현재 진출한 우리 기업들에도 상당한 영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보호무역 확산으로 글로벌 교육 규모가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며 아세안 등 제3국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가 우려된다"며 "정부는 대미 협상에 총력을 다하면서 국내 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해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freshness410@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