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뉴스1) 류정민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향후 2~3주 이내에 중국에 대한 관세 수준을 결정할 수도 있다"면서 관세율 조정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행사 중 '중국에 대한 관세를 얼마나 빨리 인하하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그것은 그들에게 달려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트럼프는 "우리가 이미 대화한 국가가 90개국이며 모두 거래를 원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공정한 거래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결국 우리가 훌륭한 협상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만약 특정 기업이나 국가와 협상이 없다면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다음 몇 주 내에 (관세율 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다음 2~3주 이내에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숫자를 설정할 것이며, 중국에 대한 것이 될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중국과 특별한 협상을 할 수도 있다"면서 "결과가 어떻게 될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현재 (대중국 추가 관세율인) 145%는 매우 높은 수치"라면서 "이는 (마약류인) 펜타닐 때문으로, 이는 대부분 중국에서 제조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이날 트럼프는 '대중국 관세가 미국의 소규모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느냐'는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 145%인 (추가)관세를 아직 낮추지 않았는데, 이는 중국이 사실상 우리와 거래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자신의 관세로 인해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더 부각했다.
트럼프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특히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거듭 주장하면서 "중국은 수년간 우리에게 대규모 관세를 부과했는데, 이는 그들이 우리 기업을 훔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로 이제 우리는 이를 역전시키고 있다"라고 말했다.
중국과의 직접적인 접촉 여부를 묻는 말에는 "매일"이라고 답했다.
트럼프는 "이제는 중국과 협력해 나갈 것"이라면서 "저는 이에 대해 의심하지 않는다"라고 했다.
트럼프는 전날(22일)에도 기자들과 만나 협상을 통해 중국산 제품의 최종 관세율이 현재 145%에서 "상당히" 낮아질 것이라며 "그렇게 높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지난 3월 미국을 찾는 해외여행객이 12% 급감했다'는 질문과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환율 영향을 언급했다.
그는 "조금은 민족주의적인 요인이 있을 수 있지만 큰 문제는 아닐 것"이라면서 "하지만 지금처럼 달러가 강세인 상황에서 중국은 항상 달러 강세를 위해 싸워왔고, 일본도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달러 강세가 해외 여행객들의 미국 여행에 부담을 주고 있고, 수출 경쟁력을 위해 강달러 상황을 원하는 중국과 일본의 '환율 조작'이 의심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트럼프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도 중국과 일본의 달러 강세에 우려를 표했으며, '약달러'를 통해 수출을 늘려 무역 적자를 낮추겠다는 구상을 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ryupd0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