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제조업체들을 일부 관세에서 제외할 계획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3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펜타닐 관세와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부과 대상에서 자동차 부품을 제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중국산 수입품에는 20%의 이른바 '펜타닐' 관세가 전면적으로 부과되고 있으며, 이에 더해 125%의 상호관세가 부과됐는데, 상호관세에는 자동차·철강 등 별도 부과되는 품목들은 제외됐다. 즉 중국에서 들어오는 제품 등 품목별 관세를 부과받는 제품은 20%의 펜타닐 관세만 추가되는데, 자동차 부품은 이마저도 제외한다는 의미다.
또한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에 부과되고 있는 25% 관세는 그 파생상품까지 포함되는데, 여기에 해당하는 일부 자동차 부품은 철강·알루미늄 관세에서 제외한다는 것이다.
이는 관세를 분리 적용(destacking)하는 것으로, 외국산 수입차에 부과된 25% 관세는 유지되고 자동차 부품에 대한 별도의 25% 관세도 예정대로 5월 3일부터 발효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일부 자동차 회사들을 도와주기 위한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말해 관세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FT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계획은 미국 자동차 업계의 첫 승리이자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공격적인 관세 정책에서 다시 한 걸음 물러나는 조치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공격적인 관세 정책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관세 전쟁의 방아쇠를 당겼다. 특히 자동차 업계에선 관세로 인해 가격 상승, 공급망 혼란, 일자리 감소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존 엘칸 스텔란티스 회장은 지난주 "트럼프의 무역 정책이 미국과 유럽의 자동차 산업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고위 자동차 업계 관계자도 "다른 관세들로 우리를 계속 때리면 산업 전체가 위태로워진다고 행정부에 멈출 것을 계속 요구했다"고 말했다.
또한 FT는 이번 계획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이 선호하는 산업에는 예외를 허용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신호라고 풀이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2일 스마트폰, 노트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반도체 제조 장비 등 20가지 품목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 품목에서 제외했다.
yellowapoll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