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분쟁 협상을 시작하기 위한 입구 찾기에 나섰다. 중국산 제품에 부과한 높은 관세가 낮아질 것이라며 유화적 제스처를 취하면서 꽉 막힌 미중 무역 협상의 물꼬가 트일 수 있을지 주목된다.
로이터, AFP 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폴 앳킨스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취임 선서식을 마치고 기자들에게 "중국과 잘 지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협상을 통해 중국산 제품의 최종 관세율이 현재 145%에서 "상당히" 낮아질 것이라며 "그렇게 높지는 않을 것, 그렇게 높지는 않을 것"이라고 반복했다.
그는 "중국과의 협상에서 매우 친절할 것"이라면서도 무역 합의가 있다면 관세가 크게 떨어지겠지만 제로까지는 아닐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중국이 무역 합의에 동의하지 않으면 미국이 조건을 정할 것이라는 발언도 내놓았다.
트럼프의 발언에 앞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고관세가 지속 불가능하다며 미중 무역전쟁이 "축소"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한 투자자 행사에 참석해 "현재 (미국과 중국은) 서로에게 금수 조치(trade embargo)를 취하고 있다"며 "현재의 상태가 지속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고 발언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중국의 긴장 완화 가능성이 "세계와 시장이 안도의 한숨을 내쉬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과의 협상이 아직 시작되지 않았고 힘든 과정이 될 테지만 추후 합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거래를 위한 무대를 마련하고 있으며 공은 올바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유화적 제스처를 보내면서 뉴욕 증시의 3대 지수들은 모두 2% 넘게 뛰었다.
트럼프 행정부가 교착 상태에 빠진 중국과의 무역협상을 시작하기 위한 사전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미중 무역협상의 물꼬가 트이면 트럼프가 상호관세 계획을 공개한 첫날 중국에 부과한 관세율인 54% 수준에서 논의가 시작될 수 있다.
트럼프의 관세 공격이 본격화하기 전 양국에서는 트럼프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생일을 맞아 6월 정상회담이 가능하다는 장밋빛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트럼프가 미국 해방의 날이라고 명명하며 4월 2일 처음 공개한 중국 관세율은 34%였고 기존의 펜타닐과 불법이민 문제로 부과했던 20%를 더하면 54%다. 이후 중국이 보복 대응으로 미국산에 34% 관세를 부과하자 트럼프는 중국산 관세를 145%까지 올렸고 중국도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보복했다.
지금까지 미중 무역협상이 제대로 시작되지 않는 데는 트럼프가 시진핑 주석과 직접 협상을 타결하는 모습을 연출하고 싶어하기 때문일 수 있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 직접 협상을 원하고 있지만 시 주석은 이를 꺼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외교 라인이 중국측과 접촉하는 것을 불허하며 양국간 비공식 채널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옥스퍼드 대학교 정치학과 국제관계학과 교수이자 선임 연구원인 로즈메리 풋은 AFP통신에 중국은 "일정한 정책 성과가 있고 시진핑이 존중받기를 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shinkirim@news1.kr